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3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끝나지 않은 2009년!

 

 

탁영희 │ 처음 노들바람에 글을 쓰게 되어 어색해요. 저는 올해 20살이 되었어요.
요즘 오산과 서울을 왔다 갔다 하며 두 집 살림하는 중입니다. 두 집 살림 힘드네요.

 

 

쌍용 자동차를 처음 알게 된 것은 광화문 농성을 하던 시기였다. 그날의 연도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아마도 추석이다. 광화문 지하에서 차례를 끝내고 대한문 앞에 있는 쌍차 농성장에 처음 방문했다. 사실 가기 전까지 무슨 내용의 농성을 하는지 몰랐다. 단지 나는 그냥 따라갔다. 그날이 내가 처음 쌍차를 알게 된 날이다.쌍용 자동차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된 것은 고등학교 1학년 때였다. 사회문제에 대해 탐구하는 활동이었는데 나는 그때 ‘쌍차’가 떠올랐고 그 내용을 주제로 탐구하게 되었다. 그때 처음으로 ‘정리해고’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리고 정리해고가 쌍차뿐만 아니라 많은 회사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꾸미기_탁영희_끝나지않은.jpg

 

그렇게 세월이 흘렀고 쌍용 자동차 노동자들이 복직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정말 이뤘구나’를 생각했다. 하지만 끝나지않았다. 전원복직이 아니었던 것이다. 나에게 ‘쌍용 자동차 노동조합’은 학령기의 한 페이지이며 자주 들여다보게 되는 곳이다. 노동조합이 무엇이고 정리해고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으며 노동자를 위한 법은 없다는 우리나라 노동자들의 현실을 알게 해주었다.

 

나는 올해 대학생이 되었고 학교에서 김득중 아저씨가 단식 농성 중이던 시기에 연대 문화제를 하러 갔다. 강정 마을에서 본 그들의 모습과는 또 다른 모습이었다. 동료가 단식해서인지 아니면 10년이라는 세월이 너무 힘들어서인지 알 수 없지만, 어딘가 지쳐 보였다.

 

 

꾸미기_탁영희_끝나지않은_2.jpg

 

또한, 학교에서 ‘쌍차’ 이야기는 많이 나온다. 특히 ‘정규직 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가 함께 싸운 훌륭한 투쟁’으로 소개 된다. 그들의 투쟁은 누구나 본받을 수 있는 존재이다. 올해 처음으로 쌍차에서 하는 ‘같이 살래요’를 했다. 의미가 너무 좋았다. ‘쌍용에서 만든 차에 쌍차 동지들을 태워 연대자들이 차를 끌어 청와대까지 간다.’라는 내용이다. 120명의 복직과 그들이 10년 동안 한 연대와 그들의 투쟁이 승리하길 바라는 마음에 갔다. 나는 10대에 쌍차를 알게 되었다. 지금 내 나이의 앞자리가 바뀌고 청소년에서 성인이 되었다. 쌍차는 나에게 학령기 교과서 같은 존재였으며 ‘연대’가 무엇인지 알려주었다. 하지만 그렇게 많은 세월이 흘렀지만, 아직 전원복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가 그들을 위해 할 수 있는 건 작은 일일지라도 그것이 커져서 전원복직이 되는 날까지 함께할 것이다. 예전에는 청소년이라서 제약도 많았고 핑계가 있었지만 그때 하지 못한 연대들을 올해부터 할 계획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436 2018년 여름 115호 - 「이동권」 / 김명학 「이동권」     김명학 │ 노들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2001년부터 시작된 이동권이 다시 시작이 되었습니다. 이동권 투쟁을 한 지도 거의 20년이 다 되어가...
435 2018년 여름 115호 - TFT 전문가 PKS를 만나다 / 최한별·박경석 TFT 전문가 PKS를 만나다     최한별 │ 비마이너 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사람과 고양이,떡볶이를 좋아합니다. 사주는 거 대환영♥ 만들어주는 건 더 환영♥     ... file
434 2018년 여름 115호 - <부싯돌> 그리고 다시 박경석 / 장선정 &lt;부싯돌&gt; 그리고 다시 박경석     장선정 │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제가 자꾸만 ‘그 때를 아십니까?’류의 이야기만 하는 것 같아서 죄송하지만, 이번도 같... file
433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아 안녕] 페스테자와 노들음악대! 함께 불러오는 바람 /화경·무브 페스테자와 노들음악대! 함께 불러오는 바람     화경, 무브 │ 하자작업장 학교 페스테자           쌀쌀하던 늦겨울에 시작된 수업이 어느새 4개월이 지나 수업... file
432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아 안녕] 제가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지 / 이동호 제가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지   이동호 │ 저는 강원도 철원에서 온 이동호입니다. 제가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지 얘기해 보겠습니다.           저는 전라도... file
431 2018년 여름 115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초심을 잃지 말자 / 최창문 초심을 잃지 말자     최창문   초심을 잃지 말자 ▶ 初 心 不 忘 (초심불망): 처음에 다진 마음(초심)을 잊지 말라는 뜻.   누구나 알고 있는 명언... 내가 요즘 ... file
430 2018년 여름 115호 - 하루하루 살아가며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 명희 하루하루 살아가며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명희 │노들장애인야학         몇 주기가 되었는지 손으로 꼽아 봐도 여전히 믿기지가 않습니다. 평원재단에 이종... file
429 2018년 여름 115호 - 김호식을 추모하며 / 고병권 김호식을 추모하며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을 둘러싼 전투의 최전선... file
428 2018년 여름 115호 - 저항으로 일구는 땅, 대항로 / 조아라 저항으로 일구는 땅, 대항로 조아라 │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대항로로 정착한 후, 책상에 물건이 하나둘 쌓이는 게 뿌듯합니다. 글쓰기를... file
427 2018년 여름 115호 - 빚 진 마음에 벽돌을 놓습니다. 대항로 시대를 여는 벽돌 후원인 이야기 빚 진 마음에 벽돌을 놓습니다. 대항로 시대를 여는 벽돌 후원인 이야기   박정숙 │ 노들야학 한소리반 재학생이고 노란들판 상근 활동가입니다.       오십을 훌...
426 2018년 여름 115호 - [교단 일기] 6년 만에 다시 시작한 미술수업 / 정석환 6년 만에 다시 시작한 미술수업   정석환 │노들 미술반 교사. 어쩌다 보니 전공과는 별 관계없는미술 교사를 맡고 있다.          원래 2011년부터 12년까지 대략... file
425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피아드, 과거시험... 폭소수학대회? '야학 수학수업 교사들의 이야기' / 민아영 노들피아드, 과거시험... 폭소수학대회? '야학 수학수업 교사들의 이야기'       민아영 │ 노들장애인야학 자원교사이면서, 사단법인 노란들판에서 상근하고 있습... file
424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야학 발달장애인 낮활동 "우웨~ 우웨~"에 갈 거야~~~~" / 윤제원 노들야학 발달장애인 낮활동 &quot;우웨~ 우웨~&quot;에 갈 거야~~~~&quot;       윤제원 │ 장애인거주시설 인강원장. 25년 장애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로서 근무했지만 ...
423 2018년 여름 115호 - 백야 속의 한줄기 어둠 CDC디자인학교! / 박시백 백야 속의 한줄기 어둠 CDC디자인학교!     박시백 │ 글 첫 줄에 나오듯이 12년차 노란들판 디자이너. 노란들판에서 맥주맛을 아는 유일한 존재. 시크한 따스함을... file
422 2018년 여름 115호 - 장애와 인권 발바닥행동 × 노란들판 / 진영인 장애와 인권 발바닥행동 × 노란들판 진영인│노란들판에서 전화 받고 있습니다. 진지한 글쓰기에는 재주가 없습니다.     #만남 일시 : 4월 13일 금요일 오후 7시 ... file
421 2018년 여름 115호 - 동림과 성호의 좌충우돌 인권 교육 / 김동림·천성호 동림과 성호의 좌충우돌 인권 교육   김동림 │노들야학의 학생이며 여러분과 함께 할 김동림입니다. 천성호 │노들야학을 통해 노란들판을 만들어가는 천성호입니... file
420 2018년 여름 115호 - 여기모여 - 우리들의 미투 / 최은화 여기모여 - 우리들의 미투     최은화 │ 노란들판에서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오랜 시간 멍하니 있는 것. 오랜 시간 걷는 것. 오랜 시간 잠자는 것을 좋아... file
» 2018년 여름 115호 - 끝나지 않은 2009년! / 탁영희 끝나지 않은 2009년!     탁영희 │ 처음 노들바람에 글을 쓰게 되어 어색해요. 저는 올해 20살이 되었어요. 요즘 오산과 서울을 왔다 갔다 하며 두 집 살림하는 ... file
418 2018년 여름 115호 - ‘때맞지 않음’의 ‘때맞음’/ 정창조  ‘때맞지 않음’의 ‘때맞음’ 영화 &lt;공동정범&gt; 공동상영회 후기     정창조 │ 집보다 노들에 있는 시간이 더 많다. 길게 잠을 자고 싶어 한다.   사건은 흔적을 남... file
417 2018년 여름 115호 - 미셸 푸코와 함께 장애를 읽다 / 하금철 미셸 푸코와 함께 장애를 읽다 '장판에서 푸코 읽기' 강좌 후기     하금철 │ 두 발은 분주하고 마음은 평화로운 사람이 되고 싶지만, 현실은 그저 유리빌딩 기생...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