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서울역 홈리스추모제 모습

 

소리 없는 이들의 삶은 계속된다

- 2017 홈리스추모제, 빈곤과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하여

 

 

가을
홈리스야학 활동가

 


  애동지라 하였다. 예부터 동지가 동짓달 초순에 드는 애동지에는 어린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하여 팥죽 대신 팥 시루떡을 해먹었다고 한다. 그러나 올해도 어김없이 서울역 광장에서는 동지팥죽 나눔이 진행되었다. 가장 밤이 길고 추운 동짓날이자, 2017 홈리스추모제가 진행되는 날이기 때문이다. 홈리스추모제는 매년 동짓날, 거리, 쪽방, 시설 등지에서 돌아가신 홈리스들의 넋을 위로하고 홈리스의 복지 및 인권보장을 요구하는 자리이다. 삶의 흔적들은 산산이 흩어져 소리조차 희미하지만, 여기 사람이 있다는 것을, 삶은 처절하게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죽은 자와 산 자가 모여, 세상에 고하는 날이다.

 

이 땅에서 산다는 것은 60~70년대 주요 역사와 인력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된 쪽방촌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고, 철거되어 왔다. 현재 서울시에는 돈의동, 창신동, 남대문, 동자동, 영등포동 등지에 쪽방촌이 밀집되어 있으며, 거리 홈리스에게는 탈노숙을 위한 주요 거주지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주요 도심에 위치한 쪽방촌은 도시개발 및 건물주의 용도변경 등에 의해 끊임없이 멸실되고 있으며, 쪽방촌 주민들은 적절한 보상도 받지 못한 채,거리로, 인근 쪽방촌으로 퇴거되고 있다. 또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쪽방촌 주변은 많은 거리 홈리스들이 머물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러나 서울시내 거리 홈리스 밀집지역에서는 거리 홈리스들이 삶을 유지하기 위해 취할 수밖에 없는 몇몇 행위들이 범죄화되고 있다.

 

특히 도심이 개발되고 상업화되면서, 주요 공공장소에서는 거리 홈리스를 내쫓기 위한 경비원 등에 의한 퇴거가 증가하고 있으며, 거리 노숙지도 점점 사라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등 민자역사 사업으로 운영되는 대부분의 역사들은 홈리스에 대한 퇴거조치를 자행하고 있다. 결국 쪽방의 멸실로 갈 곳이 없는 홈리스들이 공공장소에서도 머무를 수가 없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서울지역 무연고 사망자 중 홈리스의 비율은 45%에 이르고(서울시 무연고 사망자 중 홈리스 사망자현황, 나눔과 나눔) 있다. 그러나 「장사 등에 관한 법률」과 기초보장제도의 장제급여는 무연고사망자를 장례가 아닌 사체 ‘처리’하도록 하고 있어, 적절한 장례도 치를 수가 없는 현실이다.

 

이에 근래 서울시에서는 「서울특별시 공영장례 조례안」을 발의하였으나, 지원 대상에서 기초생활수급자를 원천적으로 배제하였고, 지원 수준을 40만 원선으로 하여 실질적인 장례 지원을 보장하지 못한 오타투성이의 조례안이었다.이에 2017 홈리스추모제공동기획단은 주간사업과 함께 ‘주거’, ‘추모’, ‘인권’으로 나누어 홈리스의 인권보장에 대하여 목소리를 높였고, ‘주거복지 로드맵에 담겨야 할 쪽방대책’ 토론회 및 퍼포먼스, 거리 홈리스 100명을 대상으로 ‘홈리스 인권 실태조사’ 및 시장면담 요청 기자회견 등을 진행하였다. 또한 서울시 공영장례조례(안) 발의에 대한 비판 기자회견등을 통해 조례안을 상정보류 시켰다.

 

생애 모든 순간은 무너진 건물 더미 밑에는 누군가의 삶이 있다. 찬바람 횅한 거리에도 누군가의 추억이 있다. 그것이 그의 죽음이든, 그가 남긴 글이든, 삶의 궤적들은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얼지 말라고, 죽지 말라고 외쳤지만, 삶의 궤적들은 여기저기 모여, 결국 만나는 곳은 무연고 사망자 추모의 집이기도 하다. 비통하다. 그래도 또 외친다. 얼지 마! 죽지 마! 우리가 함께할 수 없다면 그 누구의 삶도 온전할 수 없으니. 올 해 홈리스추모제에선 더욱 함께 외치길 바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384 2017년 겨울 113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 옳은 말은 옳은 말일 뿐이다”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 옳은 말은 옳은 말일 뿐이다” - 말의 한계, 특히 ‘옳은 말’의 한계에 대하여     고병권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맑스, 니체, 스... file
383 2017년 겨울 113호 - [형님 한 말씀] 2017년을 보내며...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2017년을 보내며...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벌써 한 해가 서서히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세월이 너무 빠르게 흘... file
382 2017년 겨울 113호 - [장판 핫이슈] ‘차별과 시혜’를 넘어 동등하게 일할 수 있는 ‘권리’를 위해 / 박철균   [장판 핫이슈] ‘차별과 시혜’를 넘어 동등하게 일할 수 있는 ‘권리’를 위해 중증장애인 노동권을 위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지사 농성 30여일을 바라보며  ... file
» 2017년 겨울 113호 - 소리 없는 이들의 삶은 계속된다 / 가을   소리 없는 이들의 삶은 계속된다 - 2017 홈리스추모제, 빈곤과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하여     가을 홈리스야학 활동가     애동지라 하였다. 예부터 동지가 동... file
380 2017년 겨울 113호 - 노란들판의 겨울맞이:) #벌써일년 / 진실로       노란들판의 겨울맞이:) #벌써일년   진실로 노란들판 디자인2팀 디자이너.트램폴린 위에서 뛰는 점핑 운동에 빠져있어요. 저 깊숙한 곳 어딘가 흥이 잠재... file
379 2017년 겨울 113호 - 어쩌다 보니 10년 노란들판 10년 일꾼 /조수안 · 공대식 · 이범민 · 김상희     어쩌다 보니 10년 노란들판 10년 일꾼 - 공대식, 이범민, 조수안 님 인터뷰     김상희 노들야학 학생으로 시작해서 노란들판 디자이너까지 두루두루 활동과 ... file
378 2017년 겨율 113호- [노들아 안녕] 날개 / 김영미   [노들아 안녕] 날개     김영미 1972년 10월16일생이고요. (46) 고향은 너무 어려서 인강원에 와서 잘 모르겠읍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김영미라고 합니다. 제... file
377 2017년 겨율 113호- [노들아 안녕] 오랫동안 이 세계를 알아가 보고 싶다 / 유지영   [노들아 안녕] 오랫동안 이 세계를 알아가 보고 싶다   유지영     '만약 당신이 나를 도우러 여기에 오셨다면 당신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는 겁니다. 그러나 ... file
376 2017년 겨율 113호 - [노들아 안녕] 드디어 페이스 친구가 되었다 / 윤민진   [노들아 안녕] 드디어 페이스 친구가 되었다     윤민진     2011년 4월에 청주에서 장애인활동보조인 교육을 받았다. 강사가 했던 말이 지금까지도 기억에 남... file
375 2017년 겨울 113호 - [교단일기] 우리의 몸을 찾아서 / 박누리       [교단일기] 우리의 몸을 찾아서     대추 청솔1반의 담임이며 학생들과 2017년 2학기에 과학을 공부하고 있다. 장애인에게 한방진료를 지원하는 장애인독... file
374 2017년 겨울 113호 - 중구난방 세미나 뒷담화 비정상 교육철학 세미나 후기 / 박준호 중구난방 세미나 뒷담화 비정상 교육철학 세미나 후기     박준호 노들야학 교사. 야학 수업 잘하고 싶어요. 새해부터 놀고 있습니다. 집이 너무 추워요.       ... file
373 2017년 겨울 113호 - 노들장애인야학의 사회복지현장 실습을 마치며 / 박성준     노들장애인야학의 사회복지현장 실습을 마치며     박성준 저는 노들장애인야학에서 2017.10.16. ~ 11.21. 기간 동안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실습생 박성... file
372 2017년 겨울 113호 -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할까 / 최영은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할까 <몸의 시간> 참가 후기     최영은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야학에 다니고 있는 최영은입니다       연극공연을 하며. 내가 ... file
371 2017년 겨울 113호 - <추신>을 관람하고 나서... <추신>, 장애인문화예술판 2017년 작품 / 이은애   &lt;추신&gt;을 관람하고 나서... &lt;추신&gt;, 장애인문화예술판 2017년 작품     이은애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중증장애인응급알림 사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전 ... file
370 2017년 겨울 113호 - ‘여기, 노란들판입니다’구멍이 숭숭 진행요원의 뒷이야기 / 민아영  ‘여기, 노란들판입니다’ - 구멍이 숭숭 진행요원의 뒷이야기   민아영 노들 활동가. 자기소개 글이 &lt;노들바람&gt; 글 중에 제일 어렵네요. 뭘 소개해야 할까. 나를 ... file
369 2017년 겨울 113호 - 우여곡절, 노들피플퍼스트 People First! / 박임당 우여곡절, 노들피플퍼스트 People First!   박임당 노들야학 교사, 방학을 만끽 중     노들에 발달장애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명 “낮수업”이 생긴 지 3년... file
368 2017년 겨울 113호 - 어둠모꼬지 <노들 선감도에 가다> / 이현아 어둠모꼬지 &lt;노들 선감도에 가다&gt;     이현아 첫 학기 수업을 가까스로 마치고 스스로 대견해하는 중. 수업을 빠진 횟수와 뒤풀이를 빠진 횟수가 동일하다(...) ... file
367 2017년 겨울 113호 - 왜 어둠이라고 했을까? 이제는 알 것 같다. / 박정숙 왜 어둠이라고 했을까? 이제는 알 것 같다. - 노들야학 모꼬지를 다녀와서   박정숙 나는 노들 야학 학생(휴)이고 상근 활동가 박정숙입니다.       여름부터 기... file
366 2017년 겨울 113호 - 베이징에 다녀왔어요!! / 이형숙 베이징에 다녀왔어요!!   이형숙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2017년 11월 27일부터 12월1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제3차 아시아·태평양(아·태) 장애인 10년 인... file
365 2017년 겨울 113호 -‘나도 혼자 산다’단기 체험홈을 마무리하면서 / 최정희 ‘나도 혼자 산다’단기 체험홈을 마무리하면서 - 공동모금회 지원 중증장애인자립생활모델개발사업 후기     최정희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남성체험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