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애인 독립진료소를 지원, 후원해주세요!

 


  발바닥행동, 참의료실현 청년한의사회가 공동운영하고 있는 장애인독립진료소 인사드립니다. ‘한방의료활동 들풀’의 농성장 진료연대로 시작된 장애인독립진료소가 어느덧 9년 넘게 꾸준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기나긴 기간 동안 진료소를 찾아주시는 분들이 꾸준히 계시다는 사실에, 저희도 놀라움과 감사함을 그 어느 때보다 크게 느낍니다. 어디를 나가도 즐비한 한의원과 병의원들을 보며 왜 굳이 저희를 찾아오실까 가끔 의문이 들다가도, 진료소를 찾아주시는 분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으며 머리가 멍해지기도, 가슴이 따뜻해지기도 했습니다.

 

2.jpg

 

 

9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장애인독립진료소도 꽤 많이 변화한 것을 느낍니다. 운영단위도, 운영위원들도 조금씩 변동이 있었고, 환자분들의 외연과 진료소 규모도 확장되었습니다. 양적인 확장이 꼭 질적 향상과 발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진료소를 찾아주시는 분들이 더 많아지고 진료소도 그러한 성원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해왔던 것 같습니다. 물론 이것이 가능했던 주된 이유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 열매) ‘어젠다 중심의 성과관리모델 개발 시범사업’에 선정된 ‘우리 마을은 모두가 건강해요!(장애인 주치의사업)’때문이었습니다. 2년간 시범사업 단위로서 장애인 독립진료소는 진료 규모를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200회 이상의 한의사 방문진료까지 건강권 연대의 폭을 넓힐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장애인 독립진료소의 활동은 ‘장애인 건강권과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장애인 주치의 제도가 2018년 시행되는 데에도 기반이 되었습니다.

 

장애인독립진료소를 후원해달라는, 조금은 송구스럽기도 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최근 3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장애인독립진료소는 누적인원 1500명이 넘는 환자분들에게 한방진료 연대활동을 해왔습니다. 형제복지원, 420공투단 의료연대 등 장애인차별철폐 투쟁현장에도 연대해왔습니다. 일반적인 한방의료봉사에서 침치료가 주된 수단인 것에 비해, 장애인독립진료소는 한약제제, 한방파스, 첩약 (한의원에서 직접 탕전한 한약)과 같은 다양한 치료 수단을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1.jpg

 

 

그 이유는 장애인분들이 비장애인에 비해 만성질환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의료적 필요도 있지만, 일반적인 한의원 진료와 동등한 수준의 진료를 제공하겠다는 게 장애인독립진료소의 모토이기 때문입니다. 매년 400분 넘는 환자분들을 뵈면서 한방파스 2000장, 한약제제 1400일분, 첩약 100제 정도를 처방해왔습니다. 이를 원가로 환산해도 1년에 1500만원 이상의 재정이 필요한데, 청년한의사회 회원들과 일부 한의계의 후원으로 반, 최근 2년간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금으로 반을 충당해왔습니다. 2017년 5월부로 장애인 주치의 시범사업이 끝났지만, 장애인 진료소의 규모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왔습니다.

 

아마도, 장애인독립진료소의 가장 큰 장점을 꼽자면 전국에서 거의 유일하게 첩약지원을 하는 한방진료소라는 것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모든 환자분들이 첩약 처방에 가장 만족하시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간 꾸준히 장애인분들의 건강 상태를 살핀 진료소의 판단은 장애인진료소에서 첩약 처방은 필수적이라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장애인독립진료소의 별도 재정이 확충되지 않는다면, 첩약뿐만 아니라 한약제제와 한방파스 지원 규모는 최근 2년간의 1/2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저희 장애인독립진료소를 조금이나마 후원해주시라는 부탁을 이렇게 지면상으로 드리게 되었습니다.

 

9년이 넘게 운영되는 2018년의 진료소 모습을 미리 상상하고 장애인독립진료소를 열지는 않았지만, 이렇게 진료소가 성장하도록 찾아주신 모든 분들의 기대와 성원을 잊지 않겠습니다. 저희 노들장애인야학, 장애와 인권 발바닥행동, 참의료실현 청년한의사회는 이 순간을 계기로 장애인독립진료소의 원동력이 무엇이었는지, 앞으로 나아갈 몇 년은 어떤 진료소의 상을 그리고 환자분들에게 기여할지 더욱 진지하게 고민하고 행동에 옮기려 합니다.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장애인독립진료소 드림

 

후원계좌: 사단법인 노들
국민은행 992401-00-0035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17년 겨울 113호 - 장애인 독립진료소를 지원, 후원해주세요! 장애인 독립진료소를 지원, 후원해주세요!     발바닥행동, 참의료실현 청년한의사회가 공동운영하고 있는 장애인독립진료소 인사드립니다. ‘한방의료활동 들풀’... file
363 2017년 겨울 113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오직 운뿐이랴~! 오 지 우 뿐이다~! / 오지우 · 김진수 오직 운뿐이랴~! 오 지 우 뿐이다~! - 겁 없는 자립생활자 오지우 학생 인터뷰     김진수   얼마 전에 눈썰매를 탔습니다. 남이 끌어주는 썰매를 얼마 만에 탄 ... file
362 2017년 겨울 113호 - [나는 활동보조인 입니다] 남옥 씨랑 같이 웃고 웃으며 살렵니다 / 이경숙 남옥 씨랑 같이 웃고 웃으며 살렵니다   이경숙 - 노들야학 학생 남옥님의 활동보조인         60살이 넘었어도 일을 하고 있었죠. 그런데 쉬게 되자 일중독이 있... file
361 2017년 겨울 113호 - [뽀글뽀글활보상담소] 65세가 되면 하루 4시간만 살라는 건가 / 박명애 · 민아영  65세가 되면 하루 4시간만 살라는 건가 - 대구 장애인 지역공동체 박명애 대표 인터뷰     - 박명애 장애인이 일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도 못했습니다. 그러다 ... file
360 2017년 겨울 113호 - 조선동님을 만나다 탈시설 지원 후기 / 박준호   조선동님을 만나다 탈시설 지원 후기       박준호 노들야학 교사. 야학 수업 잘하고 싶어요. 새해부터 놀고 있습니다. 집이 너무 추워요.       2016년 10월 ... file
359 2017년 겨울 113호 - [노들 책꽂이] 이 죽음들에대한 과학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 죽음들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아픔이 길이 되려면』 (김 승 섭 지음, 동아시아, 2017)     강 혜 민 노들야학 신입 교사. 호호. 맛있는 ... file
358 2017년 겨울 113호 - 최후변론   최후변론 2018년 1월 8일 오후 5시 서 울 중 앙 지방법원 418호에서     존경하는 재판관님, 제가 이곳 법정에서 유무죄를 판결받기 전에 재판관님께 꼭 드리고...
357 2017년 겨울 113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7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남훈, 강문형, 강병완, 강복현, 강선아, 강성윤, 강수...
356 2017년 가을 112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2012년 8월 21일 이번 농성은 얼마나 길게 할까? 나쁜 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무기한 농성을 하자는데, 폐지될 때까지 뭐든 해야겠지만, ... file
355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2012년 8월 21일 ~ 2017년 9월 5일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장애인수용시설 폐지를 위한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file
354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남겨진 1842일간의 거리에서의 이야기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남겨진 1842일간의 거리에서의 이야기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농성은 중단되었습니다.   한명희 | 살아갈 것, 놀... file
353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사진으로 보는 광화문농성 1842일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사진으로 보는 광화문농성 1842일      2012.08  농성 2일째. 아주 무더웠던 여름날, 은박롤과 몇 장의 선전물과 함께.   ... file
352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1842일, 나의 광화문농성장 이야기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1842일, 나의 광화문농성장 이야기           <정소영> 5년의 농성 중 2년을 함께하였습니다. 2년 동안 많은 일들이 있었... file
351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현수막과 깃발이 되어 함께한 1842일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현수막과 깃발이 되어 함께한 1842일 이 이미지는 5년 농성 기간 동안 깃발이 되어, 현수막이 되어 함께 싸웠던 노란들판의 ... file
350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장애인 복지의 ‘구체제’ 무너뜨릴 ‘종자돈’을 얻었다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장애인 복지의 ‘구체제’ 무너뜨릴 ‘종자돈’을 얻었다 광화문 공동집행위원장 박경석 고장님 인터뷰     하금철 | <비마이너... file
349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형님 한 말씀] 광화문 5년... 또 다시 시작되는 투쟁 / 김명학         ( 이미지 속 글자 )     「광화문 5년... 또 다시 시작되는 투쟁」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2012년 8월 21일 ~ 2017년 9월 5일... file
348 2017년 가을 112호 - 궁리소 차담회, 시설 잡감 / 박정수   궁리소 차담회, 시설 잡감   박정수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노들’에 온 지 1년 반이 넘어 간다. 작년에는 『비마이너』 객원기자로 생활했고, 올해는 ... file
347 2017년 가을 112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국가는 장애화를 즉각 중단하라 [고병권의 비마이너] 국가는 장애화를 즉각 중단하라 장애인의 권리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해석에 반대하며     고병권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맑스, 니체, ... file
346 2017년 가을 112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시설 밖에서 보낸 나의 2년 6개월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시설 밖에서 보낸 나의 2년 6개월     김진석 | 노들야학 학생 겸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이용자입니다.         장애인생활시설에서 30... file
345 2017년 가을 112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나의 잣대와 기준은 뭐였을까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나의 잣대와 기준은 뭐였을까 활동보조 하면서 느낀 글       이용자 김장기   활동보조인 이상석     활동보조 일을 하면서 겪었던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