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오직 운뿐이랴~! 오 지 우 뿐이다~!

- 겁 없는 자립생활자 오지우 학생 인터뷰

 

 

김진수

 

얼마 전에 눈썰매를 탔습니다. 남이 끌어주는 썰매를 얼마 만에 탄 건지... 남의 썰매를 얼마 만에 끈 건지... 모르겠더군요. 아무쪼록 겨울에는 넘어지지 않게 끌려가는 것도 끌어주는 것도 조심조심! 

 

 

 

  자립생활을 한 학생 중에 가장 재미있게 산다고 알려진 오지우 님을 만났다. 만나기 전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을 통해 재밌게 사는 모습을 봤었다. 머리카락을 휘날리며 오픈 스포츠카를 타고 있는 모습이나, 화려한 드레스를 입고 찍은 사진들, 선뜻 용기 내기 어려운 삶의 일탈을 거침없이 하는 모습들을 보며 중증 장애인 자립생활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지 궁금했다.

 

지우 씨는 인터뷰 중간 중간 자기는 운이 좋은 것 같다는 말을 내뱉곤 했다. 그리고 마지막엔 이런 말도 덧붙였다. 자립생활을 하고 나서 다양한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살다 보니 겁이 없어진 것 같아요. 그 두 말을 붙여 나는 이렇게 생각했다. 겁 없이 살면, 운은 좋아진다. 겁 없이 운 좋게 살고 있는 오지우 학생의 인터뷰를 들어 보시라. 삶에 겁먹지 않는 것이, 즐거운 자립생활을 만들지도 모른다.


>> 오지우 님 안녕하세요.

 

지우 안녕하세요.

 

>> <노들바람>에 ‘자립생활을 알려주마’라는 코너가 있어요. 무슨 의미 같으세요?

 

지우 자립생활을 어떻게 하는지 알려주는 거요.

 

>> 네 맞아요. 어떻게 하면 자립생활을 잘 할 수 있죠?

 

지우 ....

 

>> 그러면 다르게 질문해서요. 자립생활을 잘 하는 건 뭐라고 생각하세요?

 

지우 하고 싶은 걸 하면서 살면 자립생활을 잘 하는 것 같아요.

 

>> 그럼 지우 씨는 하고 싶은 게 뭐예요?

 

지우 여행이요.

 

3.jpg

 

 

>> 어떤 여행이요?

 

지우 이곳저곳 다니는 거요. 해외도 가고. 바다도 보고.

 

>> 또요?

 

지우 맛있는 것도 먹고 그런 거요.

 

>> 전에 시설에서 사셨나요? 언제부터 언제까지 사셨어요?

 

지우 19살부터 31살까지요.

 

>> 시설에 있기 전에는?

 

지우 집에서만 살았어요.

 

>> 집에서만 살 때도 여행은 못 가셨나요?
 
지우 아예 나간 적이 없어요.

 

>> 시설에서 살 때도 마찬가지였겠네요.

 

지우 그쵸. 거의 안 나갔죠.

 

>> 시설에서 자립생활을 하기로 마음을 먹었잖아요.

 

지우 하고 싶은 걸 다 하고 싶었어요.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나고 먹고 싶은 거 먹고 보고 싶은 거 보고 하면서 자유롭게 살고 싶었어요.

 

>> 그런데 그렇게 살려면 시설에서 나오기만 하면 되는 건가요?

 

지우 그런 건 아닌 것 같아요.

 

>> 나와서 어떻게 살아야 해요? 돈 문제도 있고, 집도 구해야 하고, 주변에 사람이 없을 수도 있잖아요? 이런 고민들과 걱정들은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지우 수급자가 되면 수급비가 꼬박꼬박 나오니까 걱정 없고 수급자 되는 게 걱정이죠.

 

>> 그럼 수급비로 여행 다닐 수 있다는 건가요?

 

지우 아니요. 센터를 잘 만나야 해요. 센터에서 여행가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그런 걸 잘 알아봐야 해요. 물론 돈을 모아야 하긴 하지만. 여러 프로그램을 통해서 저는 여행을 가는 편이에요.

 

>> 개인 사업도 하고 있지 않으세요? 수익이 어떻게 되세요?

 

지우 밑질 게 없어요. 빚은 안 져요.

 

>> 사업하실 생각은 어떻게 하셨어요?

 

지우 어떤 센터에서 인터넷 쇼핑몰 강의프로그램을 했는데 그거 듣다가 하게 됐어요.

 

>> 근데 듣는다고 바로 할 수 있는 건 아니잖아요?

 

지우 바로 할 수 있던데요.

 

>> 그래요? 준비해야 할 게 많지 않아요? 사업자등록도 내야 하고.

 

지우 그렇죠. 국세청 가서 사업자 등록증 내면 돼요.

 

>> 수급자완 지장 없나요?

 

지우 수급자랑은 지장 없어요.

 

>> 다른 학생들 같은 경우에는 수급자 탈락될까봐 돈벌이를 잘 안하는 분들이 있잖아요. 지우 씨는 어떻게 그런 용기를 내게 되셨죠?

 

지우 그냥 심심해서요. 재미있을 것 같고. 돈 벌면 좋은 거니까.

 

>> 그럼 자립생활하면서 가장 재미있었던 순간이 사업하는 거였나요?

 

지우 사업은 힘들어요. 왜냐면 물건 사진을 업데이트해야 하니까요. 일이 많아요. 근데 팔리면 기분은 엄청 좋아요.

 

>> 자립생활 하면서 내가 자립생활을 잘 했다고 느낀 순간 없어요?

 

지우 여행 다닌 거요. 2011년도에 시설에서 같이 나온 사람들이 있어요. 그때 되게 많이 나왔어요. 장애인들이 14명인가? 그 정도 나왔을 거예요. 그 중에 내가 제일 잘 사는 것 같아요. 왜냐면, 다른 분들은 집이 없어서 체험홈에 있고 그런데 나는 임대아파트도 쉽게 당첨 되고 다른 분들은 아직 체험홈에 있는 분들도 있는데 나는 내 집이 있고 그래서. 남들보다는 좀 잘 사는 것 같아요. 운도 좋고 사람을 잘 만난 것 같아요.

 

>> 프로필 사진 보니까 오픈카를 타고 찍은 사진이 있던데요?

 

지우 스포츠카를 타고 싶어서 활동보조인 아는 분에게 부탁을 해서 타게 됐어요. 여행의 시작도 활동보조인을 잘 만나서 하게 됐는데 한 번 하고 나니까 두 번, 세 번은 쉬웠던 것 같아요. 여행 다니면 겁도 없어지고. 원래 겁이 없는 편이기도 하고...

 

1.jpg

 

 

>> 그럼 지우 씨가 자립생활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앞으로 자립생활을 할 사람에게 해드릴 조언은 일단 겁이 없어야 하고 사람을 잘 만나야 하는 건가요?

 

지우 사람을 잘 만나야 하죠.

 

>> 어떻게 하면 센터를 잘 만나고 사람을 잘 만날 수 있나요?

 

지우 글쎄요... 자기 복이 아닐까요...? 본인의 능력? 사람을 보는 능력?

 

>> 그렇구나. 힘들 때는 없었어요?

 

지우 나와서 처음 자립해서 활동보조 시간 없을 때 빼곤 거의 없었던 것 같아요. 힘들어도 힘들게 생각을 안 했어요.

 

>> 되게 긍정적이시네요. 그런 성격도 자립생활을 잘 하는데 한 몫 했나요?

 

지우 그런 것 같아요.

 

>> 그럼 지우 씨가 생각하는 자립생활을 잘하는 방법은 긍정적인 마음으로 겁 없이 자유롭게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을 잘 만나야 하는데 사람 보는 눈을 길러야 한다. 가 되겠네요.

 

지우 네 맞아요.

 

>>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없나요?

 

지우 누구의 눈치도 보지 말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하면서 살았으면 좋겠어요.

 

>> 앞으로 하고 싶은 것도 말해주세요.

 

지우 결혼이요.

 

>> 결혼 말고 다른 건 없어요?

 

지우 세계여행이요.

 

>> 언제쯤 가능할 것 같으세요?

 

지우 글쎄요. 알아봐야죠.

 

>> 알아보고 반드시 할 거지요?

 

지우 그렇죠. 반드시 할 거예요.

 

>> 1년 안에?

 

지우 그쵸. 1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364 2017년 겨울 113호 - 장애인 독립진료소를 지원, 후원해주세요! 장애인 독립진료소를 지원, 후원해주세요!     발바닥행동, 참의료실현 청년한의사회가 공동운영하고 있는 장애인독립진료소 인사드립니다. ‘한방의료활동 들풀’... file
» 2017년 겨울 113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오직 운뿐이랴~! 오 지 우 뿐이다~! / 오지우 · 김진수 오직 운뿐이랴~! 오 지 우 뿐이다~! - 겁 없는 자립생활자 오지우 학생 인터뷰     김진수   얼마 전에 눈썰매를 탔습니다. 남이 끌어주는 썰매를 얼마 만에 탄 ... file
362 2017년 겨울 113호 - [나는 활동보조인 입니다] 남옥 씨랑 같이 웃고 웃으며 살렵니다 / 이경숙 남옥 씨랑 같이 웃고 웃으며 살렵니다   이경숙 - 노들야학 학생 남옥님의 활동보조인         60살이 넘었어도 일을 하고 있었죠. 그런데 쉬게 되자 일중독이 있... file
361 2017년 겨울 113호 - [뽀글뽀글활보상담소] 65세가 되면 하루 4시간만 살라는 건가 / 박명애 · 민아영  65세가 되면 하루 4시간만 살라는 건가 - 대구 장애인 지역공동체 박명애 대표 인터뷰     - 박명애 장애인이 일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도 못했습니다. 그러다 ... file
360 2017년 겨울 113호 - 조선동님을 만나다 탈시설 지원 후기 / 박준호   조선동님을 만나다 탈시설 지원 후기       박준호 노들야학 교사. 야학 수업 잘하고 싶어요. 새해부터 놀고 있습니다. 집이 너무 추워요.       2016년 10월 ... file
359 2017년 겨울 113호 - [노들 책꽂이] 이 죽음들에대한 과학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 죽음들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아픔이 길이 되려면』 (김 승 섭 지음, 동아시아, 2017)     강 혜 민 노들야학 신입 교사. 호호. 맛있는 ... file
358 2017년 겨울 113호 - 최후변론   최후변론 2018년 1월 8일 오후 5시 서 울 중 앙 지방법원 418호에서     존경하는 재판관님, 제가 이곳 법정에서 유무죄를 판결받기 전에 재판관님께 꼭 드리고...
357 2017년 겨울 113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7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남훈, 강문형, 강병완, 강복현, 강선아, 강성윤, 강수...
356 2017년 가을 112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2012년 8월 21일 이번 농성은 얼마나 길게 할까? 나쁜 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무기한 농성을 하자는데, 폐지될 때까지 뭐든 해야겠지만, ... file
355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2012년 8월 21일 ~ 2017년 9월 5일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장애인수용시설 폐지를 위한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file
354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남겨진 1842일간의 거리에서의 이야기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남겨진 1842일간의 거리에서의 이야기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농성은 중단되었습니다.   한명희 | 살아갈 것, 놀... file
353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사진으로 보는 광화문농성 1842일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사진으로 보는 광화문농성 1842일      2012.08  농성 2일째. 아주 무더웠던 여름날, 은박롤과 몇 장의 선전물과 함께.   ... file
352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1842일, 나의 광화문농성장 이야기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1842일, 나의 광화문농성장 이야기           &lt;정소영&gt; 5년의 농성 중 2년을 함께하였습니다. 2년 동안 많은 일들이 있었... file
351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현수막과 깃발이 되어 함께한 1842일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현수막과 깃발이 되어 함께한 1842일 이 이미지는 5년 농성 기간 동안 깃발이 되어, 현수막이 되어 함께 싸웠던 노란들판의 ... file
350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장애인 복지의 ‘구체제’ 무너뜨릴 ‘종자돈’을 얻었다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장애인 복지의 ‘구체제’ 무너뜨릴 ‘종자돈’을 얻었다 광화문 공동집행위원장 박경석 고장님 인터뷰     하금철 | &lt;비마이너... file
349 2017년 가을 112호 - 광화문 지하역사 농성 1842일의 기억 [형님 한 말씀] 광화문 5년... 또 다시 시작되는 투쟁 / 김명학         ( 이미지 속 글자 )     「광화문 5년... 또 다시 시작되는 투쟁」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2012년 8월 21일 ~ 2017년 9월 5일... file
348 2017년 가을 112호 - 궁리소 차담회, 시설 잡감 / 박정수   궁리소 차담회, 시설 잡감   박정수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노들’에 온 지 1년 반이 넘어 간다. 작년에는 『비마이너』 객원기자로 생활했고, 올해는 ... file
347 2017년 가을 112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국가는 장애화를 즉각 중단하라 [고병권의 비마이너] 국가는 장애화를 즉각 중단하라 장애인의 권리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해석에 반대하며     고병권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맑스, 니체, ... file
346 2017년 가을 112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시설 밖에서 보낸 나의 2년 6개월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시설 밖에서 보낸 나의 2년 6개월     김진석 | 노들야학 학생 겸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이용자입니다.         장애인생활시설에서 30... file
345 2017년 가을 112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나의 잣대와 기준은 뭐였을까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나의 잣대와 기준은 뭐였을까 활동보조 하면서 느낀 글       이용자 김장기   활동보조인 이상석     활동보조 일을 하면서 겪었던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