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나 는 활 동 보 조 인 입 니 다 】
노동에 관하여,
풀리지 않는 질문

나경 | 활동보조 5년 차. 현재 이용자로 만났던 J와 함께 다큐를 제작 중이다.

 

110_111.jpg

얼마 전, 친구 J와 다큐멘터리 <플레이 온>을 보러 갔다. 영화는 SK 브로드밴드 케이블 하청 노동자들이 팟캐스트를 통해 파업 소식을 알리고,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는 과정을 담았다. 영화 속 노동자들은 단단한 안전장치 없이 전봇대나 담 위에 오르는 위험을 감수했고, 언제나 좋은 인상을 주어 고객들에게 서비스 점수를 따야만 했으며,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장비와 소모품들을 스스로 감당해야 했다. 노동의 조건은 열악했고, 그것을 바꾸어 내는 파업은 녹록치 않아보였다. 영화의 주인공들은 투쟁을 통해 하청업체의 정규직이 되었지만, 그 여파로 일이 줄어들어 월급은 오히려 반 토막이 되었다.


사실, 나나 J는 영화를 보기 전까지 이 문제에 관심이 없었다. 영화도 지인이 만든 게 아니었다면 굳이 찾아보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는 평소 노동운동이나 노조활동에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았다. 아니, 어쩌면 J와 나에겐 ‘노동자’라는 말이 낯설게 느껴졌는지도 모른다. J는 9년째 장애를 주제로 인권강의를 하는 강사지만 그것이 생활을 뒷받침해줄 만큼 안정적인 수입원이 되지 않는다고 들었다. 나 또한 장애인 활동보조를 하면서 4대 보험을 보장받고는 있지만, 알바 혹은 활동으로 여겼을 뿐, 그것을 진지하게 ‘나의 노동’으로 대하고 고민하지 않았다. 그랬기에 우리는 노동운동에 자신의 전 존재를 거는 영화 속 노동자들에게 감정이입을 하기 어려웠다.


영화가 끝나고 J가 내게 말했다. “이 일이… 힘든 건 알겠는데… 물론 돈을 벌기 위해 이 일을 하는 거고… 하지만 너무 힘들다고 생각하면 그 속에 더 못 있어. 일하면서 좋은 건 없나?” 이 같은 J의 반응은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는 다소간 떨어져 있었다. 그것은 영화 속 노동자들의 처지를 이해하고 나온 질문이라기보다는 평소 일하면서 느꼈던 그녀의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나는 J가 인권강의를 준비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 일은 비장애인이 다수인 학생들 앞에서 온전히 자신을 드러내는 일이자, 장애에 대해 비장애인들이 가진 편견을 교정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얼핏 그 일은 꼭 필요하고, 보람 있는 일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원론적인 이야기고 실제 강의를 준비하는 J에게는 즐거움보다 현장에 대한 걱정이나 피곤함이 앞선다. 게다가 들인 노고에 비해 수입이 시원찮을 때, 일이 항상 들어오는 것도 아니므로 그것을 선뜻 ‘노동’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 더 나아가 직업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 애매한 것이다.


생계와는 상관없는 강사 일, 그것을 J는 ‘노동’의 관점에서 고민할 수 없다. 그런데 여기서 ‘노동’의 관점이란 뭘까? 생계를 책임질 만큼 많은 돈을 벌 수 있어야만 노동이라고 부를 수 있는 걸까? 노동은 즐거움과 동떨어져있는 개념일까? 어쩐지 노동에도 많은 차이가 존재하는 것 같았다. J는 이 같은 고민을 영화관에서 감독과 출연자들과 나누고 싶어 했다. 언어 장애가 있는 J가 그 자리에서 자기 의견을 입말로 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내가 대신 질문했다. 하지만 그 뜻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을지, 순간 난감했다. 아니, 그 자리에서 나는 J와 내가 처한 노동의 조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자신이 없었던 것이다. 나는 맥락은 생략한 채 뭉뚱그려서 이야기를 했다.

 

110_110.jpg

“영화 잘 봤다. 제가 친구를 대신해서 질문을 전달하겠다. SK 브로드밴드 기사님들이 어떤 조건에서 일을 하시는지 알게 되어 좋았다. 그런데 영화를 보면서 일을 한다는 것, 노동이라는 게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들었다. 노동자의 노동의 조건이 워낙 열악하다보니 다큐에서는 힘든 부분이나 개선되어야 하는 점이 주로 나왔다. 하지만 궁금해졌다. 일을 하시면서 진짜 어떠셨는지, 돈을 번다는 의미 외에 일 자체에서 느끼는 보람이나 자부심. 그런 것은 없는지 궁금하다.”


순간 정적이 흘렀다. 그리고 마이크를 받은 출연자분들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두 아이를 키우는 아버지인 그는 월급이 통장에 들어오는 것이 노동의 가장 큰 의미라고 설명했다. 희망연대노조에 속해 있는 또 다른 노동자는 노조일은 권익을 주장하는 것 이상의 이웃과의 연대활동을 포함하고 있다고 했다. 뭔가 질문과 답의 핀트가 어긋나있는 것 같았지만, 둔탁한 질문에 대한 최선의 답변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집으로 돌아오고도 뭔가 갈증이 해소되진 않았다.


분명 영화를 보면서 노동자들의 삶이 좀 더 친근하게 다가오긴 했다. 노동운동을 다룬 다른 영화들과는 달리 노동자들은 수다를 떨었으며, 부드러운 표정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노동’에 관하여는 계속 물음표가 생겼던 것이다. 왜 우리는 그들의 노동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했을까? J는 노동자들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그들의 미소를 영화에서 보고 싶었다고 했다. 일은 누가 시켜서 하는 게 아니고, 자기가 하고 싶어서 하는 것이란 평소 J의 지론을 비춰보면, 그 반응은 충분히 납득이 갔다. 하지만 과연 결사 투쟁을 벌이는 노동자들에게 웃는 모습을 기대하는 것이 합당한지에 대해선 의문이 든다.


나는 질문을 나에게 가져와보았다. 돈과 노동은 동떨어진 것일 수 있는가? 일은 나한테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나는 지금 이 질문들에 대해 뚜렷하게 답을 할 수 없음을 안다. 아마 그동안 이 일에 대하여 치열하게 고민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동안 인문학 공동체에서 생활을 하던 내게 일은 어디까지나 생활비를 벌기 위한 보조적 수단이었다. 활동보조 일을 시작한 지 벌써 4년, 얼마 전 공동체 생활을 접게 되면서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할지, 이 일이 내게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 질문이 생기기 시작한다. 사실, 내가 처한 상황을 언어화시키는 게 가장 급선무인데, 마음을 들여다보는 것도, 나의 행동과 노동조건을 투명하게 이해하는 것도, 그리고 그것을 남들과 공유할 수 있는 언어로 만드는 것도 사실 쉽지는 않다. 어쩌면 그동안 일은 고역이거나 타협이었는지도 모른다. 일에서 의미를 찾으려면 앞으로 난 어떤 고민들을, 누구와 나눠야만 하는 걸까? 친구와 함께 영화 한 편을 보고 생각만 많아져버렸다. 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80 2017년 봄 110호 - 노란들판 인스타그램~   노란들판~ 인스타그램 #신입직원 #노란들판의 핫플레이스, 자몽청! #세계여성의 날 유공기업 선정 #420장애인권위원 #블로그   #신입직원 올해! 노란들판에 신... file
279 2017년 봄 110호 - 들판을 헤매다 차 한 잔 마시자고,   들판을 헤매다 차 한 잔 마시자고, 소박한 꿈, 큰 노동... 들다방 탄생기 김유미 | 요즘은 내가 뭐하는 사람일까, 스스로 묻고 답하지 못할 때가 있다. 야학에... file
278 2017년 봄 노들바람 110호 - 2017 안전벨트 학생회장 김이준수 당선의 변 2017 안전벨트 학생회장 김이준수 당선의 변 김이준수 | 저는 남들보다 조금 일찍 태어났어요. 몸무게 1.2kg 미숙아로. 그때부터 장애인으로 살아온 30년. 전 학... file
277 2017년 봄 노들바람 110호 - [교단일기] 하마무가 하마무에게 인터뷰를 한다   【 교 단 일 기 】 하마무가 하마무에게 인터뷰를 한다 물어보는 사람:하마무 대답하는 사람:하마무   하마무 | 노는 사람. 페미니즘 아트의 실천 가능성을 ... file
276 2017년 봄 노들바람 110호 - 나에게 노들은 편안함이다.   나에게 노들은 편안함이다 노들을 추억하며 박소영 | 사회복지사, 평생교육사. 서울시 도시재생본부 신택리지 활동가로 근무 중 사회복지 실습처를 찾아 여기저... file
275 2017년 봄 노들바람 100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꿈도 꾸지 못했을 지금, 자유   【 자 립 생 활 을 알 려 주 마 】 꿈도 꾸지 못했을 지금, 자유 장희영 | 시설에서 나와 장애인문화예술판에서 연극배우로,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 file
» 2017년 봄 노들바람 110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노동에 관하여, 풀리지 않는 질문 【 나 는 활 동 보 조 인 입 니 다 】 노동에 관하여, 풀리지 않는 질문 나경 | 활동보조 5년 차. 현재 이용자로 만났던 J와 함께 다큐를 제작 중이다.   얼마 전... file
273 2017년 봄 노들바람 110호 - [대학로야 놀자] 세상의 중심은 나와 너라는 것 【 대 학 로 야 놀 자 】 세상의 중심은 나와 너라는 것   허 정 | 학생부회장이자 권익옹호 활동가 허정입니다. 노들에서 바라는 꿈, 나는 한 가지 꿈이 있다면 ... file
272 2017. 봄 노들바람 110호 - 15회 정태수상 수상자 김명학 동지! 15회 정태수상 수상자 김명학 동지! 박승하 | 장애해방열사_단에서 활동합니다.   장애해방운동가 정태수열사추모사업회에서는 매년 3월을 여는 첫 행사로 3월 1... file
271 2017. 봄 110호 - 별이 된 현이에게... 별이 된 현이에게... 2016년 12월 22일 우리 곁을 떠난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박현을 추모하며   미소 |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상임활동가.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file
270 2017. 봄 110호 - 나에게서 당신이 빠져있습니다 나에게서 당신이 빠져있습니다 고(故) 이종각 선생님을 추모하며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2003년부터 2014년까지 야학에서 상근 활동을 했다. 노들의 오... file
269 2017. 봄 110호 - 내 친구 피터 내 친구 피터 고(故) 김호식 1주기를 맞아 고병권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 file
268 2017년 봄 110호 - 그 어떤 음식보다 따뜻했던 카레 4160그릇 그 어떤 음식보다 따뜻했던 카레 4160그릇 2016년 12월 31일 밤에 열린 ‘세월호 가족들의 심야식당’ 박정환 | 운동이라면 몸을 쓰는 운동도 사회를 바꾸는 운동... file
267 2017년 봄 110호 - 함께 소리쳐요! 우장창창!! 함께 소리쳐요! 우장창창!! 영희 | 휴직 교사. 두 아이의 아빠가 되고 나서 좀 더 예쁜 세상을 꿈꾸고 있다. 최근, 하던 일을 휴직하고 전업주부가 되었음. ^^ ... file
266 2017년 봄 110호 - 장애인 독립진료소 5 + “3주년”을 맞아 장애인 독립진료소 5 + “3주년”을 맞아 김지민 | 장애인 독립진료소 운영위원, 참의료실현 청년한의사회 정책차장 세월호가 침몰하기 3일 전, 평소처럼 노들야학... file
265 2017년 봄 110호 - 민들레 10년을 말하다 민들레 10년을 말하다 『노들바람』에 등 떠밀려 박장용 | 민들레에서 일하고 있어요. 연극을 좋아하고, 보드게임을 좋아합니다. 2018년도부터는 부모님으로부터... file
264 2017년 봄 110호 - [노들 책꽂이] 장애학, 장애를 다시 정의하는 혁명을 시작하자 【 노들 책꽂이 】 장애학, 장애를 다시 정의하는 혁명을 시작하자 (콜린 반스 외 엮음, 『장애학의 오늘을 말하다』, 김도현 옮김, 그린비, 2017.) 박정수 | 20... file
263 2017년 봄 110호 - ‘노들장애학궁리소’는요? ‘노들장애학궁리소’는요? 노들장애학궁리소는 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함께 연구하고 토론하는 곳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의 공부를 ‘궁리’라고 부릅...
262 2017년 봄 110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안소진에 대한 탐문 조사 【 노 들 은 사 랑 을 싣 고 】 안소진에 대한 탐문 조사 전 야학 상근자, 고양이 집사, 특수교사 최한별 | 밥보다 맥주를 좋아한다. 와인도 좋아한다. 비마이너... file
261 2017년 봄 110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7년 3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강남훈, 강문형, 강병완, 강복원,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영미2, 강정자, 강주성, ...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