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대학로야 같이 놀자]

변화를 보다

 

 

 

송무림 | ()노들 소속 활동가이며, 응급알림e 서비스담당, 편의시설개선 자조모임을 맡아 활동 중. 일도 건강도 잘 챙기면서 추운 겨울 잘 이겨내야겠다. 아 추워~

 

 

지난 3년여 동안 자조모임에서 편의시설 모니터링을 하였습니다. 지하철역, 마로니에공원, 공공시설, 상점, 그리고 민원 접수와 국가인권위 진정, 편의시설모니터링 전시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활동을 했네요.

 

<지난 활동들>

2013년도: 인근 지하철역과 주 환승구간. 마로니에공원 조사, 편의시설모니터링전시회

2014년도: 국가인권위 진정활동, 마로니에공원 객석 및 장애인화장실 기자회견

2015년도: 공공시설을 비롯한 상점 조사, 민원접수 및 인권위진정, 편의시설모니터링전시회

 

그 동안의 조사 활동을 토대로 올해는 출입이 어려운 장소를 발굴하고, 우리의 힘으로 직접 개선해 나가는 활동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하게 된 이유는 크게 2가지였습니다. 첫째, 편의시설 설치가 안 되어 있어 접근이 어렵고, 장애인들이 사회 활동 및 참여에 심각한 차별을 받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둘째, 작년에 모니터링 조사를 하여 민원 접수를 하였지만, 전체 10곳 중에 2곳만이 변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대학로에는 상점들이 많지만 정작 장애인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곳은 거의 없었습니다. 모든 상점들을 개선처로 삼을 수는 없지만, 출입구가 계단()1~2개인 곳이라면 적은 비용으로 개선이 가능하였습니다.

 

[2015년에 변화가 이루어 진 곳]

*롯데리아(턱 제거)

송무림1.jpg

  > > > 송무림2.jpg


 

*신한은행(추락방지턱 설치)

송무림3.jpg

  > > > 

송무림4.jpg



 

20165월말의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출입이 어려운 장소를 발굴하였습니다. 맥도날드, KFC, 옷가게, 식당, 서점, 병원, 약국 등의 장소를 선정하였습니다. 발굴 작업에는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상근자를 포함한 권익옹호활동가들이 참여하였습니다. 활동가들이 개선처를 한 곳 이상을 발굴하고 담당하여 개선 활동을 하기로 하였습니다. 발굴 활동 후에는 대상지에 찾아가 개선을 요구하는 직접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첫 개선 활동의 시작은 맥도날드였습니다. 매장 전면에는 계단이 너무 많아서 뒷골목을 통해 들어가야 했습니다. 턱이 하나 있어 혼자서는 들어갈 수 없었고 매장 직원의 도움을 받아야 했습니다. 매니저에게 매장 이용의 어려움에 대하여 이야기하였고, 경사로를 설치해달라는 요구를 하였습니다.

그 다음에는 KFC를 방문하였습니다. KFC의 입구에는 턱이 두 개 있어서 장애인들이 혼자 들어갈 수가 없었기에, 이곳 또한 매니저에게 경사로를 설치해 줄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이 날 KFC에 오셨던 교장 선생님 또한 들어가지 못하고, 매장 밖에서 기다려야만 했습니다. 매장 직원의 도움을 받아서 들어갔던 영은 씨가 햄버거를 먹는 모습을 유리문을 통해 지켜보면서 말입니다.

6~7월에 걸친 개선처 발굴과 개선 요구 활동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매장을 방문하였습니다. 제안하고 부탁하고 법률적 위반 사항을 얘기하며 독촉도 해보았지만,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기는 어려웠습니다. 또한 개선을 요구한 대부분의 매장에 경사로를 놓기 위해선 건물주와의 협의가 필요했습니다. 개인 상점이 아닌 본사가 있는 곳은 설치를 본사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매장에서 아무리 설치 의사가 있어도 건물주가 반대하면 설치를 하기가 어려웠는데, 법적인 강제조항이 없다는 게 아쉬웠습니다.

이에 노들센터에서 직접 본사와 싸움을 진행하기도 해야 했습니다. 민원 접수를 하고 직접 연락도 하면서 꾸준히 접촉을 하였습니다. 경사로가 속전속결로 설치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진행이 되고 언제 설치될 것인지 확실한 답변을 받고 싶었습니다.

그러던 중 8월초 텐바이텐에 경사로가 설치되었습니다. 활동을 시작하고 첫 성과였습니다. 텐바이텐은 4번의 방문 후 변화가 만들어진 곳이었습니다. 방문할 때마다 건물주와 이야기 중이라고만 얘기하던 곳인데 갑작스런 설치에 살짝 놀랐고 또 좀 기뻤습니다.

그리고 농협에서도 변화를 보였습니다. 농협은 작년도 편의시설 모니터링 대상이었는데, 8월 말에 드디어 난간이 설치가 되었습니다. 당시에는 전동휠체어를 타고 가다 떨어질 위험성이 너무 높은 위험한 곳이었는데, 이제는 제법 안전하게 들어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 11월이 되기까지 다른 곳에서는 변화가 없었습니다. 설치해주겠다고 했던 곳들도 미루거나 태도를 바꾸기도 하였습니다. ‘협의 중이다’, ‘설치가 되도 얼마나 오겠냐’,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다는 등의 핑계를 댔습니다.

11월 말 무렵, 오랜 기다림 끝에 맥도날드와 KFC에도 경사로 설치가 진행되었습니다. 맥도날드에는 건물 뒤 출입구에 경사로가 놓이고, KFC에는 매장 앞으로 안전바와 함께 경사로가 설치되었습니다.

이외에도 평원재 근처에 있는 경희부부한의원에서도 경사로를 설치해주셨습니다. 한의원입구에 경사로가 설치되자, 바로 옆에 있는 손만두집에서도 나무텍 공사를 하면서 경사로를 놓아주었습니다.

11월 말까지 총 6군데에서 장애인의 접근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고, 아직도 개선해야할 곳이 많이 남아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런 작은 변화가 반드시 더 큰 변화로 이어질 거라는 기대와 희망을 가져봅니다.

 

[편의시설 개선활동으로 인한 변화]

 

개선 전

개선 후

1. 텐바이텐

송무림5.jpg

송무림6.jpg

2. 농협

송무림7.jpg

송무림8.jpg

3. 맥도날드

송무림9.jpg

송무림10.jpg

4. KFC

송무림11.jpg

송무림12.jpg

5. 경희부부 한의원

송무림13.jpg

송무림14.jpg

6. 고석환 손만두

-

송무림15.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44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형님 한 말씀]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형님 한 말씀]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가을이 점점 깊어가고 있습니다. 멀지 않아 겨울이 오겠지요. ...
243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장판 핫이슈] 권리가 박탈된 시대, 선택은 사투(死鬪)뿐이었다 [장판 핫이슈] 권리가 박탈된 시대, 선택은 사투(死鬪)뿐이었다       이정훈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실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무...
242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제1회 종로장애인인권영화제, 이제 시작입니다! 제1회 종로장애인인권영화제, 이제 시작입니다!       김필순 | 큰 행사들 치루고 나면 늘어나는 갈색 반 흰색 반 머리카락을 유심히 보고 있어요.     올 여름 ... file
»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변화를 보다 [대학로야 같이 놀자] 변화를 보다       송무림 | (사)노들 소속 활동가이며, 응급알림e 서비스담당, 편의시설개선 자조모임을 맡아 활동 중. 일도 건강도 잘 챙... file
240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권익옹호활동가를 아시나요? 권익옹호활동가를 아시나요?       김필순 | 하루를, 그리고 한주를 정리하면서 아주 빠른 시간을 보내고 있어요.     활동을 만들어간다는 어려움과 가치를 알려... file
239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수연 언니의 자립체험기 수연 언니의 자립체험기 (그리고 박임당의 활동보조 분투기)       박임당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노들의 1년 살이를 알 듯 말 듯 한 사람.     생존, 그것이 단... file
238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관계성으로 비추어 본 장애인활동보조의 빈틈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관계성으로 비추어 본 장애인활동보조의 빈틈       장은희 | 장애여성공감 활동지원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이제 활동 만 3년차에 접어... file
237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조금은 다른 불안을 위하여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조금은 다른 불안을 위하여       정창조 | 노들야학 고장선생님 활동보조로 돈을 번다. 철학을 공부하고 있긴 한데 잘 하지는 못한다. ... file
236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작년 여름부터 무소속 연구... file
235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정성철 | 빈곤사회연대에서 활동합니다. 탄산음료와 초콜릿, 운동과 키스, 담배와 데모를 좋아합니다. 술과 권위 ... file
234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박근혜는 퇴진하라! 최순실과 삼성 이재용을 처벌하라! 삼성 직업병 문제 해결하라!     권영은 |... file
233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저 야산에 묻힌 원혼들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하금철 | 어쩌다보니 장판에 들어왔다. 어쩌다보니 또 기자가 되었다. ... file
232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지지자가 되었... file
231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영...
230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이번 『노들바람』 108호에 실린 글들에서는 ‘○○를 그리며’, ‘○○를 보내며’, ‘○주기’, ‘○○를 추억하며’와 같은 문구들이 유독 눈에 많...
229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 file
228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이상우 | 1982년생 전주에서 출생. 충북 음성 꽃동네 희망의집에서 23년간 생활... file
227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우리는 서울시 자치구 순회투쟁을 왜 해야만 했을까?       민아영 | 노들야학의 교사이... file
226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이상엽 |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장     강남역에서 한 무고한 여성이 ... file
225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현정민 | 노들야학에서 방송반 특활수업 교사와 더불어 장애인권교육 담당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