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노들야학 학생 김호식의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카프카 ) 패러디 작품

 


※ 지난 47일 새벽 1시경 노들장애인야학 학생인 김호식 씨(44)가 홀로 집에 있다가 심근경색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고인은 뇌병변장애인으로 2001년부터 복지관에 같이 다니던 친구의 소개로 노들장애인야학에 입학해서 최근까지 노들야학에서 많은 일상을 공유해 왔습니다. 야학에 다니기 전까지 초등학교 교육도 받지 못했지만, 그는 노들야학 활동을 통해 철학과 연극에 관심을 쏟고, 장애인권교육강사로도 활동하며 열정적인 삶을 살았습니다.

그는 지난 몇 년간 노들 인문학 세미나에 참여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써 보고자 노력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나온 고인의 단편 작품을 소개하면서 고인을 추모하고자 합니다.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라는 제목의 이 글은 프란츠 카프카의 단편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를 패러디 한 것으로, 글 속에는 고인의 생애와 사유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20135월에 쓰여진 이 글은 노들야학 교사 노규호 씨와 함께 카프카의 작품을 읽고 이를 다시쓰기 하면서 만들어진 작품으로, 411일에 열린 김호식 학생 추모식에서도 낭독되었습니다.


김호식1.jpg


고매하신 국회의원 여러분! 여러분들은 장애인으로 살아온 저의 인생담을 발표하라고 했습니다. 그것이 어떻게 당신들 덕에 가능했는지 말입니다. 하지만 저는 이제 당신들이 원하는 장애인에서 이야기꾼이 되었습니다. 착한 장애인으로 살았다면 여까진 못 왔을 것입니다. 고집이 있었으니까 여까지 왔지 고집이 없었다면은 여까지 못 왔을 것입니다. 집에서 주는 거나 받아먹고 가만히 있었으면은 계속해서 주는 거나 받아먹고 안전하게 살고자 하는 고집이 생겼을 것입니다. 저는 공부하겠다는 고집으로 여까진 왔습니다.

 

국회의원 여러분, 다들 늙고 병이 듭니다. 또 어릴 적에는 마찬가지로 부모가 돌봐줘야합니다. 늙거나 어려서가 아니어도 사람은 누구나 서로가 돌봐줘야 합니다. 그렇게 모두가 장애인인 거 아닙니까. 국회의원 여러분, 당신들이 말하는 장애인의 본능은 당신들이 가지고 싶어 하는 것이 만들어낸 두려움입니다. 그래서 내가 지금 당신들 앞에서 무슨 보고를 하는 것이 꽤나 우스운 일처럼 보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약간은 쓸쓸한 마음으로 그러나 좋은 이야기구나 하고 당신들이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장애인으로 내가 가장 먼저 배웠던 것은 고통을 참고 무언가에 다가가는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시골촌놈입니다. 그 시골에서 사람들은 서로가 서로를 싫어하게 하는 총을 쐈습니다. 그 총은 양복을 차려입고 회사를 다니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것입니다. 한마디로 그렇게 폼 재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것입니다. 저는 그 두려움 같은 것에 맞은 놈입니다. 두 방을 맞았는데 두 방 다 가슴에 맞았습니다. 한 방을 맞고 나에게는 꼴통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마치 제가 다른 착한 장애인들과 오로지 고집스럽다는 것으로만 구별된다는 듯이 말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 총알도 가슴에 맞았습니다. 제가 거침없이 웃게 되는 것을 가지고 사람들은 총을 쐈습니다. 그들은 내가 웃을 때마다 아직도 나에게 좋지 못한 습성이 남아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나는 사람들이 웃긴 것을 두고 참는 습성이 좋은 것 인줄 모르겠습니다. 제발 총을 쏘는 그들의 변태 같은 습성이 내 웃음을 가지고 더 이상 나를 괴롭히지 않기를 바랍니다.

 

총에 두 방 맞은 이후 제가 깨어난 곳은 궤짝이었습니다. 이 무렵 때 아버지도 돌아가시고 허탈했습니다. 정신을 차리고 보니 열아홉살이 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공부도 하고 친구들도 만나고 싶고 해서 복지관을 나가게 되었습니다. 좋았다면은 술 먹고 노는 게 좋았습니다. 하지만 그곳은 공부 진도가 안나가는 애들 같은 경우에는 자원봉사자가 오면 붙여주지 않았습니다. 그냥 술 마시며 놀다가 집에 오게 되었습니다. 맨 처음에는 그런 것을 몰랐는데 나중에는 이상하게 얽혀들어갔습니다. 1년 정도 다녔는데 내가 공부 진도가 안나가니까 복지관에서는 다른 진도 잘 나가가는 애들만 뽑아서 가르치게 되었습니다. 그런 것들이 다시 나에게 궤짝처럼 다가왔습니다. 나는 다시 이 궤짝에서 나와야만 했습니다. 궤짝은 돈 가지고 장난을 합니다. 어떤 복지관에 가면 사람들을 가두어놓고 하는 그런 면이 있습니다. 전화해서 관리 같은 것을 해서 복지관으로 들어오라고 연락을 합니다. 그리고 출석체크만 하고 가라고 합니다. 복지관은 그렇게 돈을 받고 함께 공부하지는 못했습니다. 장애인의 날 때 올림픽 공원에 애들을 우르르 풀어놓고 밥 먹고 놀다가 버스를 태우고 복지관에 와서 풀어줬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것이 무엇이었는가 싶습니다. 복지관에서 출구가 보이지 않았을 때 저는 다시 천사 짓을 그만두었습니다.

 

너의 발가락 사이의 살을 할퀴어보아라. 그래도 너는 그 이유를 알 수는 없을 거다. 쇠창살이 너를 거의 두 동강 낼 때까지, 네 등을 거기 대고 눌러라. 그래도 너는 그 이유를 알 수는 없을 거다. 그렇게 저에게도 어떤 소리가 들려오는 듯 했습니다. 그때부터 친구 따라 강남 간다고 나는 친구를 따라 야학에 갔습니다. 그때 나에게는 출구가 친구였습니다.

 

친구를 따라가며 제가 바랬던 것은 나를 함부로 대하지 않게 하는 것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자주 곡예사 한 명이 그네에 뛰어올라, 그네를 구르고, 도약하고, 상대방의 품안으로 날아들고, 하는 모습을 보면서 저것 역시 인간의 자유구나 인간들의 자유란 누군가의 즐거움을 위해 저렇게까지 해야하는거구나 싶었습니다. 실제로 자유가 있다면 서커스 단원처럼 안 해도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자유가 정말 있으면 저렇게까지 연습을 하지 않아도 될텐데 라고 생각했습니다. 누군가가 누군가를 함부로 대하는 것을 인간들은 자유라고 부르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아니면 자기 뜻대로 남을 다루는 것을 자유라고 말하는 것 같았습니다. 인간들은 남들을 함부로 대하는 것을 엄청나게 이루어야하는 것처럼 그리고 그것을 우월한 것처럼 이야기하곤 합니다. 근데 친구관계에 있어서는 함부로 대하게 되기도 합니다. 여기서 함부로는 그 함부로가 아닙니다. 만약에 장애인 시설에서 바깥에서 사람들이 온다고 칩시다. 그러면 처음 보는 남자를 여자가 닦인다든지 그건 내가 보기엔 말도 안 되는 짓입니다. 돈 많은 사람들이나 사회봉사 하러 오는 사람들은 우월감이나 홍보하려고 그 짓을 합니다. 인간들은 장애인을 장애인으로 두는 것에서 자유를 느끼고 있습니다. 친구관계라고 보자면은 자기가 즐거워서 하는 것들을 함께하는 그런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복지관에서 나왔을 때 야학에 다녔습니다. 새로운 사람들을 만난다는 게 좋았습니다. 그리고 데모나 시위나 그런 거를 참여하면서 위로와 이해감 같은 것이 생겼습니다. 같이 술도 마시고, 그랬던 것이 특히 좋았습니다. 복지관에서도 술을 마시긴 했는데 그때보다는 조금 나은 것은 있었습니다. 차별적이지 않는다는 것, 자기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은 아직도 잘 안되고 있긴 한데 마음은 남아있습니다. 또 시위나 그런 것에 대해서 거부감이 있기는 하지만 왜 싸우는 지 알 수 있게끔 해준 게 좋았습니다.

 

김호식2.jpg


그러다 6년 전에 따로 집을 마련해서 살게 되었습니다. 싸우고 안 볼 것처럼 하고 나오게 되었습니다. 깝깝하고 답답했습니다. 내가 대범한 것처럼 보이지만은 오히려 저는 조그만 일에 잘 놀라는 성격입니다. 집 밖으로 나간다는 것이 많이 두렵기도 했습니다. 형에 대해선 나를 두들겨 패고 그런 것이 있어서 약간 반감같은 것이 있었습니다. TV를 보면서 크게 웃는다고 때리고 술 먹고 들어와서 때리고 그랬던 것이 있습니다.

 

개겼습니다. 아니, 개긴 것까진 아니고 누나도 시집간 마당에 뭐 내가 집을 나와서 살지 못하라는 법도 없고, 그리고 엄마가 언제한번 나가 살 집에 대해 이야기를 해서 그때 집을 나왔습니다. 그토록 원했던 것만도 아닌데 나와서 살아보니까는 살았습니다. 그때는 활동보조인도 없었고 그랬으니까는 자립할 여건도 잘 안 갖춰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활동보조가 생기고 하니까 나아졌습니다. 생활이라고 조금 말할 수 있었습니다. 요즘에는 살짝 살짝 건드려보는 수준인데 그런 수준에서 뭔가를 시도해보고 있습니다. 책 읽고, 만드는 모임도 같이 하고, 복지관도 나가서 운동도 함께하고 있고 그렇습니다. 출구라고 해야지되나? 나는 출구의 열쇠를 얻고 싶습니다.

 

자유가 남을 함부로 대하는 것이었다면 장애인으로서 살아가는 방식으로 출구들을 찾고 있습니다. 쪼금이라도 더 얻어먹는 것, 당당한 거지근성이라고 그럴지도 모르겠는데 이것도 어느 정도 해야겠다 싶습니다. 뭘 못하는 것의 장애인이 아니라 뭘 해보는 장애인도 되야겠다 싶습니다. 정부를 대상으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게끔 만드는 것도 나의 출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도하고자 하는 것은 그림이나 동화를 만드는 것으로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 장애인들을 구속하고 억압하는 그런 것들에 대해서 전하고 싶다는 겁니다. 장애인들과는 함께 못 살아갈 것이라는 생각들이 지배적입니다. 여기에 경종을 울려보고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40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권익옹호활동가를 아시나요? 권익옹호활동가를 아시나요?       김필순 | 하루를, 그리고 한주를 정리하면서 아주 빠른 시간을 보내고 있어요.     활동을 만들어간다는 어려움과 가치를 알려... file
239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수연 언니의 자립체험기 수연 언니의 자립체험기 (그리고 박임당의 활동보조 분투기)       박임당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노들의 1년 살이를 알 듯 말 듯 한 사람.     생존, 그것이 단... file
238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관계성으로 비추어 본 장애인활동보조의 빈틈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관계성으로 비추어 본 장애인활동보조의 빈틈       장은희 | 장애여성공감 활동지원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이제 활동 만 3년차에 접어... file
237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조금은 다른 불안을 위하여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조금은 다른 불안을 위하여       정창조 | 노들야학 고장선생님 활동보조로 돈을 번다. 철학을 공부하고 있긴 한데 잘 하지는 못한다. ... file
236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작년 여름부터 무소속 연구... file
235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정성철 | 빈곤사회연대에서 활동합니다. 탄산음료와 초콜릿, 운동과 키스, 담배와 데모를 좋아합니다. 술과 권위 ... file
234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박근혜는 퇴진하라! 최순실과 삼성 이재용을 처벌하라! 삼성 직업병 문제 해결하라!     권영은 |... file
233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저 야산에 묻힌 원혼들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하금철 | 어쩌다보니 장판에 들어왔다. 어쩌다보니 또 기자가 되었다. ... file
232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지지자가 되었... file
231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영...
230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이번 『노들바람』 108호에 실린 글들에서는 ‘○○를 그리며’, ‘○○를 보내며’, ‘○주기’, ‘○○를 추억하며’와 같은 문구들이 유독 눈에 많...
229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 file
228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이상우 | 1982년생 전주에서 출생. 충북 음성 꽃동네 희망의집에서 23년간 생활... file
227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우리는 서울시 자치구 순회투쟁을 왜 해야만 했을까?       민아영 | 노들야학의 교사이... file
226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이상엽 |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장     강남역에서 한 무고한 여성이 ... file
225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현정민 | 노들야학에서 방송반 특활수업 교사와 더불어 장애인권교육 담당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file
»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노들야학 학생 故김호식의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카프카 作) 패러디 작품   ※ 지난 4월 7일... file
223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노규호 | 철학반 교사로 노들장애인야학과 더불어 살고 있... file
222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 file
221 2016년 여름 108호 -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올 사월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우리 곁을 영영 떠났습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