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4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낙산 발정(發程)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점심시간마다 낙산에 올라 제가 살고 있는 곳을 보고 오는 거예요. 높은 곳에 올라 먼 곳을 보는 일은 언제나 좋네요.

 

 

김진수_낙산발정2.jpg

김진수_낙산발정1.jpg


봄이 왔을 때였다. 낮 수업 학생들과 낙산에 갔다. 봄이 온 낙산은 흐드러졌다. 벚꽃 잎은 날리고, 개나리는 노오랗고, 진달래는 발그레 했다. 풀냄새와 꽃냄새가 진동했고 하늘은 저 끝까지 보일 듯 파랗게 투명했다. 그렇게 낙산은 봄을 드러냈고, 그런 낙산을 보며 우리는 기침을 하듯 저마다 봄을 터트렸다. ~ 봄이다! 개나리다! 벚꽃 봐! 한마디로 발정 난 봄이었고 그 봄을 따라 발정 한 낙산이었다. 낙산은 봄을 따랐고 우리는 그 낙산을 따른다. 도심에선 봄이 쉽게 드러나지 않기에 드러난 곳으로, 낙산으로, 봄을 따라.

 

수원에서 슈퍼를 하던 시절 개 한 마리를 키웠다. 우리 집 개가 발정이 난 어느 날, 슈퍼 영업을 마치고 녀석과 산책을 했다. 고물상 앞을 지나가고 있는데 커다란 철문 밑 작은 틈으로, 개 주둥이가 삐죽이 나왔다. 무슨 냄새를 맡았는지 삐져나온 주둥이의 코가 벌름 거렸다. 그 모습을 본 우리 개가 그 주둥이를 향해 나를 잡아끌었다. 그러더니 서로 주둥이를 맞대고 킁킁거리며 냄새를 맡았다. 그렇게 냄새를 몇 분쯤 맡았을까, 잠시 후 아무 일 없었다는 듯 그 둘은 떨어졌다. 문제는 그 이후에 일어났다. 다음 날 슈퍼 앞에 개 한 마리가 찾아왔다. 알고 보니 그 녀석은 그때 그 고물상 개였다. 그렇게 그 개는 몇 날 며칠을 슈퍼에 찾아와서 우리 집 개를 보고 갔다. 한두 달쯤 지나자 녀석의 발걸음이 뜸해지더니, 찾아오는 간격이 한 달이 되고, 그 보다 더 길어지기도 했다. 가끔 녀석이 슈퍼에 찾아올 때, 어떤 날은 향긋한 비누 냄새가 났고, 어떤 날은 고약한 음식 썩은 내가 났다. 눈에 상처를 입거나 몸이 긁혀 찾아온 적도 있었다. 고물상 아저씨의 말로는 녀석이 집을 나갔다고 했다. 고물상 개가 집을 나간 게 우리 집 개 때문인 것 같아 조금 뜨끔했지만, 전에 고물상에서 키우던 개가 죽었다는 소식을 몇 번 들었던 터라 오히려 통쾌했다. 아무튼 그렇게 녀석은 발정 난 우리 집 개를 따라 고물상 밖으로 발정(發程: 길을 떠남)했다.

 

흐드러진 낙산을 감상하고 다 같이 마음이 들떠 왁자지껄 떠들며 내려오는데, 그 모습을 본 경남 누나가 우리를 보고 한 마디 한다. “어머~ 다들 발정났나봐~” 그 말을 듣고 모두 깔깔대며 웃었다. 하긴 봄이니, 이렇게 한껏 봄을 따르는 낙산이 있으니, 발정(發程)을 안 할 수가 있나. 얼마 있으면 자연이 자신을 더욱 더 드러내 보이는 여름이다. 이번 여름, 집을 나와 길을 떠났던 고물상 개처럼, 낙산을 향해 발정했던 우리들처럼, 어딘가를 향해 누군가를 향해 발정해 보시길!




TAG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36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작년 여름부터 무소속 연구... file
235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정성철 | 빈곤사회연대에서 활동합니다. 탄산음료와 초콜릿, 운동과 키스, 담배와 데모를 좋아합니다. 술과 권위 ... file
234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박근혜는 퇴진하라! 최순실과 삼성 이재용을 처벌하라! 삼성 직업병 문제 해결하라!     권영은 |... file
233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저 야산에 묻힌 원혼들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하금철 | 어쩌다보니 장판에 들어왔다. 어쩌다보니 또 기자가 되었다. ... file
232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지지자가 되었... file
231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영...
230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이번 『노들바람』 108호에 실린 글들에서는 ‘○○를 그리며’, ‘○○를 보내며’, ‘○주기’, ‘○○를 추억하며’와 같은 문구들이 유독 눈에 많...
229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 file
228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이상우 | 1982년생 전주에서 출생. 충북 음성 꽃동네 희망의집에서 23년간 생활... file
227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우리는 서울시 자치구 순회투쟁을 왜 해야만 했을까?       민아영 | 노들야학의 교사이... file
226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이상엽 |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장     강남역에서 한 무고한 여성이 ... file
225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현정민 | 노들야학에서 방송반 특활수업 교사와 더불어 장애인권교육 담당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file
224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노들야학 학생 故김호식의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카프카 作) 패러디 작품   ※ 지난 4월 7일... file
223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노규호 | 철학반 교사로 노들장애인야학과 더불어 살고 있... file
222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 file
221 2016년 여름 108호 -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올 사월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우리 곁을 영영 떠났습니...
220 2016년 여름 108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희망 없는 인문학 [고병권의 비마이너] 희망 없는 인문학 루쉰이 다시 글을 쓴 이유에 대하여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작년 여름... file
» 2016년 여름 108호 - 낙산 발정(發程) 낙산 발정(發程)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점심시간마다 낙산에 올라 제가 살고 있는 곳을 보고 오는 ... file
218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활동하는’ 필순입니다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활동하는’ 필순입니다       김필순 | 자연색의 머리카락을 가졌다. 갈색 머리라 흰머리가 덜 보일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 노들장애... file
217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You Only Live Once! [노들아 안녕] You Only Live Once!       이승현 |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남성 자립생활주택 3개월 차 신입 코디네이터 & 활동가.     #1. 드라마 「응답...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