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활동하는필순입니다

 

 

 

김필순 | 자연색의 머리카락을 가졌다. 갈색 머리라 흰머리가 덜 보일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 노들장애인야학과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한다.

 

 

김필순1.jpg


안녕하세요.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하는 필순입니다. ‘활동하는이라는 이 말이 아직 입에 잘 붙지 않아요. 많은 시간 저를 소개할 때 ○○에 김필순입니다’, ‘○○에 근무하는 김필순입니다’, 이렇게 말을 했었거든요. 저는 오랜 시간 직장이라는 곳에서 근무했어요. 근무하는 것과 활동하는 것이 무엇이 다른지를 물어보면 아직은 정확히 구분하여 말할 수 없지만 저는 이 활동하는이라는 단어가 좋아요.

 

노들에 어떻게 오게 되었어요?’, ‘이전에 다니던 곳이 더 괜찮은 직장 아니에요?’, 노들에서 활동하면서 많이 받는 두 가지 질문이에요. 우선 노들에 어떻게 오게 되었는지. 이건 저도 수많은 노들인에게 묻고 싶은 것이기도 해요.^^ 학교 다닐 때 운동하셨어요?’라는 질문도 많이 받지만 저는 학생운동 출신(?)도 아니에요. 하지만 누군가에게 얘기한 것처럼 운동을 좋아했어요. 관심이 많았지요. 그러다 고장 쌤의 지금이 나는 더 행복하다를 읽고 노들과 장애인운동을 알게 되었는데, 그때만 해도 저런 곳에서 일하는 건 너무 힘들 거라고 생각을 했어요. 그러다 수많은 집회에서 늘 마이크를 잡고 대중을 선동하는 고장 쌤이 허리를 굽혀 해치마당에 깔개를 까는 모습을 보고, 저곳은 어떤 곳일까 생각을 했어요. 궁금하다. 저 조직. 그리고 눈을 크게 뜨고 노들을 보았지요.

 

두 번째 질문과 관련해서. 이전에 일하던 곳에서는 모두들 직장이라는 표현을 썼어요. 그러니까 전에 다니던 곳은 활동하는 공간이 아닌 직장이었던 것이지요. 노들센터보다 업무량은 적고 급여는 조금 더 많은 곳이었어요. 많은 이들이 더 나은 직장이라 말하지만, 그렇게 비교하는 자체가 불가능하지요. 한 곳은 직장이고, 한 곳은 직장을 넘어 활동하는 공간이니까. 그래서 노들에서 일할 기회가 생기자마자 냉큼 오게 되었답니다. 야학에서는 신입교사 딱지를 떼고 수학 4반 수업을 하고 있고, 센터에서는 사업과 운동이 분리되지 않는 활동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지요. 그런 저를 보고 그러다 쓰러진다, ‘너무 피곤하지 않냐고 걱정을 많이 해주시는데 그 정도는 아니에요. 재밌어요, 노들이.

 

좋아하는 것이 있는 사람은 어떻게 해야 자신이 행복한지 아는 사람이라는 글을 읽었어요. 저는 커피, , 맥주를 좋아하고 산을 좋아하고 산책을 좋아해요. 그 좋아하는 것에 노들이 들어왔습니다. 행복하기 위해 좋아하는 것을 하지는 않지만, 좋아하는 것을 하고 좋아하는 것들과 가까이 있어 느끼는 행복감이라면 열심히 누릴 마음을 먹었어요. 우리 노들에서 자주 만나요. 노들아 안녕.


김필순2.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36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작년 여름부터 무소속 연구... file
235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정성철 | 빈곤사회연대에서 활동합니다. 탄산음료와 초콜릿, 운동과 키스, 담배와 데모를 좋아합니다. 술과 권위 ... file
234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박근혜는 퇴진하라! 최순실과 삼성 이재용을 처벌하라! 삼성 직업병 문제 해결하라!     권영은 |... file
233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저 야산에 묻힌 원혼들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하금철 | 어쩌다보니 장판에 들어왔다. 어쩌다보니 또 기자가 되었다. ... file
232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지지자가 되었... file
231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영...
230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이번 『노들바람』 108호에 실린 글들에서는 ‘○○를 그리며’, ‘○○를 보내며’, ‘○주기’, ‘○○를 추억하며’와 같은 문구들이 유독 눈에 많...
229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 file
228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이상우 | 1982년생 전주에서 출생. 충북 음성 꽃동네 희망의집에서 23년간 생활... file
227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우리는 서울시 자치구 순회투쟁을 왜 해야만 했을까?       민아영 | 노들야학의 교사이... file
226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이상엽 |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장     강남역에서 한 무고한 여성이 ... file
225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현정민 | 노들야학에서 방송반 특활수업 교사와 더불어 장애인권교육 담당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file
224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노들야학 학생 故김호식의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카프카 作) 패러디 작품   ※ 지난 4월 7일... file
223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노규호 | 철학반 교사로 노들장애인야학과 더불어 살고 있... file
222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 file
221 2016년 여름 108호 -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올 사월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우리 곁을 영영 떠났습니...
220 2016년 여름 108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희망 없는 인문학 [고병권의 비마이너] 희망 없는 인문학 루쉰이 다시 글을 쓴 이유에 대하여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작년 여름... file
219 2016년 여름 108호 - 낙산 발정(發程) 낙산 발정(發程)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점심시간마다 낙산에 올라 제가 살고 있는 곳을 보고 오는 ... file
»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활동하는’ 필순입니다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활동하는’ 필순입니다       김필순 | 자연색의 머리카락을 가졌다. 갈색 머리라 흰머리가 덜 보일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 노들장애... file
217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You Only Live Once! [노들아 안녕] You Only Live Once!       이승현 |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남성 자립생활주택 3개월 차 신입 코디네이터 & 활동가.     #1. 드라마 「응답...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