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8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저 일등 먹었어요!

AAC(보완대체의사소통) 기기를 이용한

‘2015 전국 뇌병변언어장애인 의사소통 웅변 경진대회참가기

 

 

 

이상우 | 1982년 전주에서 출생. 충북 음성 꽃동네 희망의 집에서 23년간 생활함. 현재 노들야학 학생

 

 

이상우.jpg


작년 가을 어느 날, 한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받고 보니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아래 한뇌협)에서 온 전화였다. 그쪽 협회에서 나와 함께 프로그램 교육을 진행하고 싶다는 얘기를 듣게 되었다. 그것은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보완대체의사소통) 기기를 사용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었고, 이 교육을 거쳐 ‘2015 전국 뇌병변언어장애인 의사소통 웅변 경진대회에 참가를 하게 되는 거였다. 그때까지도 ‘AAC’라는 단어가 어떤 의미인지 알지 못했다. 알고 보니 AAC란 우리의 의사소통을 보조하고 도와주는 친구 같은 기기였다. 실제로 나 또한 자주 사용하고 있다.


그렇게 프로그램 교육이 시작되었고, 며칠 후에 각조의 조원들이 발표되었는데 내가 속한 조는 2조였다. 그리고 조장까지 맡게 되었다. 그 후에 조별로 과제가 주어졌는데,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우리가 선택한 주제는 장애인 편의시설에 관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우리 조는 조모임 또한 진행하게 되었다. 조모임 장소는 내가 현재 거주하는 평원재로 결정하였다.


우리 조원들은 서로 시간을 협의하여 주말에 드디어 첫 모임을 가졌다. 조원들을 위해 미리 준비해 놓은 과자와 음료를 나눠 먹으며 과제 원고에 들어갈 내용들을 서로 논의하고 공유하기 시작했다. 공유한 내용을 정리, 작성하는 데에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날 하루 만에 끝낼 수 없다는 생각에, 일단 조원들을 더 늦기 전에 집에 보내야만 했다. 원고 제출일이 바로 코앞이다 보니 원고를 어느 정도라도 마무리하기 위해 밤늦게까지 작업을 하게 되었다.


그날 이후로도 마감 직전까지 원고를 수정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그렇게 정신없이 수정을 하고 최종적으로 완성을 하여 한뇌협에 무사히 원고를 제출하게 되었다. 원고는 그렇게 마무리가 되었고, 발표회에 쓰일 동영상 촬영이 남아있었는데 나는 한 가지 고민에 빠졌다. 동영상 촬영 장소를 구하는 것 때문이었다. 그 부분은 다행히 한뇌협의 윤소라 간사님께서 도와주셨다. 그리하여 웅변 경진대회에서 사용할 동영상 촬영을 무사히 잘 마칠 수 있었다.


마침내 ‘2015 전국 뇌병변언어장애인 의사소통 웅변 경진대회날이 되었다. 전체적인 발표내용은 AAC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상황 차이에 대한 설명이었다. 실생활에서 흔히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것들을 일기 형식으로 나열하였으며, 내용 전반에 탈시설 장애인이 가장 먼저 겪는 문제가 의사소통이라는 걸 최대한 강조하였다. 그리고 발표 내용이 사람들에게 좋게 받아들여졌는지, 우리 2거침없이 질주팀이 일등의 영광을 안게 되었다.


이번 웅변대회를 준비하면서 많이 힘들었지만 조원들의 호흡이 무척 잘 맞았고, 준비 기간 내내 서로 불평불만 없이 너무나도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유지되었다는 것에 대해 조장으로써 너무나도 고맙게 생각한다. 일등을 한 것도 좋지만 그러한 준비의 과정이 나에게 무척 뜻 깊은 시간이 아니었나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16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꽃동네에서 나와 노들로 [노들아 안녕] 꽃동네에서 나와 노들로       추경진 | 노들장애인야학 학생. 현재 평원재에서 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추경진입니다. 저는 1997년에 교... file
215 2016년 여름 108호 - 안녕하세요, 『비마이너』 기자 박정수입니다 안녕하세요, 『비마이너』 기자 박정수입니다       박정수 | 수유너머에서 오랫동안 밥 먹고 공부하며 생활해왔다. 올해 3월부터 『비마이너』의 프리랜서(!) 기... file
214 2016년 여름 108호 - 노란들판의 꿈 노란들판의 꿈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2016년 5월 12일 목요일 오후 7시에 노들장애인야학에서 『노란들판의 꿈』(『그럼에도 불구...
213 2016년 여름 108호 - [교단일기] 청솔 과학반이 일구는 노란들판 [교단일기] 청솔 과학반이 일구는 노란들판       최재민 | 탈시설 운동하는 사람이다. 시설에서 생활하다 자립해서 잘사는 경남 누나를 보고 시설 따위는 없애야... file
212 2016년 여름 108호 - 노(怒)치아나! 놓치않아~!! 노(怒)치아나! 놓치않아~!!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점심시간마다 낙산에 올라 제가 살고 있는 곳을 ... file
211 2016년 여름 108호 - 센터판의 독립과 이사, 그 새로운 출발점에서 센터판의 독립과 이사, 그 새로운 출발점에서       서기현 | IT업계의 비장애인들 틈바구니에서 개고생하다 장판에 들어와 굴러먹은 지 어언 15여 년. 현재는 장... file
210 2016년 여름 108호 - 수연 언니 외박기 수연 언니 외박기       김지윤 | 수연 언니 활동보조인, 청솔1반 담임, 낮 수업 강사, ‘아싸클럽’ 및 ‘내 몸 찾기’ 모임 및 ‘노들인문학세미나’ 열혈 회원, 무엇... file
209 2016년 여름 108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자립생활을 향한 험난한 여정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자립생활을 향한 험난한 여정       강미진 | 요즘은 멍 때릴 시간도 없는, 이래저래 바쁘고 몸이 지쳐있어 다크서클이 턱밑 까지 내려온 ... file
208 2016년 여름 108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익숙해지는 시간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익숙해지는 시간       남다영 | 노들야학에 다니고 있는 최영은 언니와 일주일에 3일을 함께 지내고 있다. 어린 활동보조인을 찾은 영... file
207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야학 후원마당 ‘밥상이 나르샤’를 마치고 노들야학 후원마당 ‘밥상이 나르샤’를 마치고       한혜선 오랜만에 국어수업을 맡아 학생들 얘기를 많이 듣는 게 즐겁습니다. 수업시간에 제 말은 좀 더 줄여볼... file
206 2016년 여름 108호 - 세월호 참사 2주기 ‘기억식’과 ‘진실을 향한 걸음’ 세월호 참사 2주기 ‘기억식’과 ‘진실을 향한 걸음’       박준호 | 전(前) 노들야학 상근자     2014년 4월 16일 아침, 나는 노들장애인야학의 학생 및 교사들과 ... file
205 2016년 여름 108호 - 우리 모두 내성천의 친구가 되어봅시다 우리 모두 내성천의 친구가 되어봅시다       박임당 | 수유너머N에서 주로 공부하고 있다가 작년 4월의 어느 날 노들야학의 낮 수업과 만나 바람이 났습니다. 그... file
204 2016년 여름 108호 - 도대체 부정수급이 무어란 말이냐 도대체 부정수급이 무어란 말이냐 우리를 부정수급자로 몰아가다니, 뿔이 난다!!       조은별 | 노들야학과 사랑에 빠져 수년째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수업 ... file
203 2016년 여름 108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 장애인의 벗, 이종각 선생님을 추억하며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 장애인의 벗, 이종각 선생님을 추억하며       조사랑 | 노들야학 휴직교사이자 전 상근활동가. 2009년부터 평원재 담당자로... file
202 2016년 여름 108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6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감광국, 강귀화,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
201 2016년 봄 107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안녕하세요, 김유미 활동가에 이어 『노들바람』 편집인을 맡게 된 노들야학 상근교사 김도현입니다. 노들야학은 제가 2000년에 첫 사...
200 2016년 봄 107호 - 알 수 있는 건, 모른다는 사실 하나! 알 수 있는 건, 모른다는 사실 하나! 노들장애인야학 신임 학생회장단 인터뷰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199 2016년 봄 107호 - [교단일기] 나의 몸짓을 찾아서 [교단일기] 나의 몸짓을 찾아서     김미진 | 노들야학 연극반 교사. 연극이라는 도구를 통해 앞으로도 얼마나 잘 놀면서 사람들과 만날 수 있을까 고민을 하고 ... file
198 2016년 봄 107호 - [교단일기] 이러쿵저러쿵 방송국의 이런저런 이야기 [교단일기] 이러쿵저러쿵 방송국의 이런저런 이야기       허세준 | 노들야학에서 드문드문 수업을 한다. 대학에서 영화를 전공하고 있지만 영화에 대해선 아무것... file
» 2016년 봄 107호 - 저 일등 먹었어요! 저 일등 먹었어요! AAC(보완대체의사소통) 기기를 이용한 ‘2015 전국 뇌병변․언어장애인 의사소통 웅변 경진대회’ 참가기       이상우 | 1982년 전주에서 출생.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