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13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턱턱턱’에 대해서

어디까지 당해봤나? 문전박대!


민아영 | 노들야학 8개월 차에 접어든 꼬꼬마 교사입니다. 한 학기 동안 불수레 영어반과 함께했습니다. 재미있는 수업을 하고 싶은데 고민이 많이 드네요. :) 좋은 의견이 있는 분들은 제가 커피 한잔 살게요!



모두가 그렇듯 맛있는 음식을 먹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시간을 나누며 살아가는 것이 하나의 행복일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한국에서 장애인의 삶은 어떤가요? 먹고 싶은 것 먹으러 나가는 것도, 만나고 싶은 사람 만나는 것도 어느 것 하나 쉽지가 않습니다. 그것은 바로 턱,턱,턱 때문인데요. 가게 문 앞을 지키고 있는 턱도 물론이지만 장애인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그 '턱'도 큰 몫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야기를 나누어 봤습니다. 노들야학 학생분들이 경험한 그 '턱'에 대해서!


106nd_113.jpg

사진 : 맛있는 디마떼오. 여기엔 턱이 없지만, 비싸아



◌ 아영   먹고 싶은 음식 못 먹고 가고 싶은 곳 못 가고 하는 일들, 우린 너무 쉽게 당하면서 살고 있는 것 같아요. 우리 주변에서는 바뀌었다고 이야기 하지만 아직 한참 멀었죠. 야학 주변에서 밥을 먹는 것만 해도 갈 곳이 제한되는 것처럼요. 학생분들은 야학뿐만 아니라 그냥 생활하면서도 많이 느낄 것 같아요.


● 상윤   맞아요. 인도는 물론이고 식당 앞 입구에 턱이 있어서 휠체어 이용하는 사람들은 애초에 들어가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 정자   또 대부분 식당 문이 좁아가지고 휠체어가 들어가기 힘든 경우도 많고.


◌ 아영   그렇죠. 들어가기도 전에 휠체어가 들어갈 수 없는 식당들이 참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야학에서 반끼리 밥 먹으로 가면 매번 ‘육갑’이나 ‘갑부집’ 아니면 ‘뽀꼬닭’ 요렇게 가고.


◎ 남옥   나는 가게에 접근은 할 수 있었는데 아예 못 들어오게 한 적이 있어요. 사람들 많다고 나중에 오라고. 뻔히 자리 보이는데.


◐ 진석   저도 비슷한 경험을 했어요. 이건 식당 이야기는 아니긴 하지만. 휠체어를 타고 목욕탕에 갔었는데 손님이 많다고 안 받는다고 그러더라구요.



106nd_114.jpg

사진 : 왜 때문에 계단만... 


◌ 아영   목욕탕에서 손님이 많다는 이유로 안 된다고 말하기도 쉽지 않은데. 거 참 웃기는 목욕탕이네요. 그래서 어떻게 하셨어요?


◐ 진석   다음에 오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옆에 있는 목욕탕에 갔지, 뭐. 이런 것도 있고 문전박대 당하는 경험은 저상버스에서도 했어요.


◌ 아영   일반 버스야 리프트가 없으니 물리적으로 힘들다고 해도 리프트가 있는 저상버스가 그냥 지나친 건 문제가 있네요.


◐ 진석   저상버스를 타려고 하는데 그냥 지나가기도 하고. 어떤 때는 저상버스를 탔는데 승객이 많아서 휠체어 타기가 복잡한 상황이기도 했어요. 승객이 엄청 짜증을 내더라구요.


◌ 아영   특히 휠체어 이용하시는 학생분들이 이런 경험이 많을 것 같아요.


◐ 진석   (끄덕끄덕) 그래도 덜 억울했던 건 버스 기사가 나와서 승객한테 화를 내더라구요.


◌ 아영   저상버스에 많은 인원을 태우는 것은 그다지 좋은 모습은 아닌 것 같지만. 그래도 승객한테 문제를 이야기한 것은 옳은 일을 했네요. 하하 아무래도, 휠체어 이용하는 학생분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 많은 것 같아요. 어서 빨리 바뀌어야 할 텐데... 주원이 형은 어떠세요?


♦ 주원   나는 차별 당한 적 없는데?


◌ 아영   음.. 그렇구나.. 하하.. 수연언니는 어때요?


✚ 수연   (한이 맺힌 듯) 어휴, 말을 하자면 끝도 없겠지만 최근에 동대문에서 그런 적이 있어요.


◌ 아영   동대문에서?


✚ 수연   동대문 근처에서 활동보조인과 메밀국수를 먹으러 갔어요. 근데 식당에서 사람은 2명인데 4인석 차지한다고 못 들어오게 했어요.


◌ 아영   와, 자리가 아예 없던 것도 아니면서 그냥 나가라고 한 거예요? 막 따지지 그랬어요.


✚ 수연   짜증이 나긴하는데 그렇게 말하는 곳에서 먹기도 좀 그렇고. 그래서 그냥 잔치국수 먹으러 갔어요.


◌ 아영   이런 이야기를 하다보면 느끼는 거지만 우리는 일상에서도 계속해서 투쟁해야 할 것 같아요. 더 많이 목소리를 내고 사람들과 부딪히구요.


✚ 수연   맞아~~!!


◌ 아영   그쵸 수연언니!! 하하. 만약 그런 차별받는 일이 생겼을 때 그냥 피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우리가 투쟁해서 만든 장애인차별금지법도 있잖아요! 정말 납득할 만한 이유가 없다면 확실하게 "이건 범법 행위입니다"라고 말하는 것도 중요한 것 같아요. 우리도 어디서든 먹고 싶은 거 먹고 즐길 수 있는 권리 가지고 태어났잖아요.


106nd_115.jpg

사진 : 경사로 계단 반반. 좋아요.


106nd_116.jpg

사진 : 계단뿐인 출입구. 앙 미워 미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76 2016년 봄 107호 -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당’에 함께해요!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당’에 함께해요!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이 함께 살기위한 장애등급제․... file
175 2016년 봄 107호 - ‘태수야2’ 음반을 소개합니다 ‘태수야2’ 음반을 소개합니다       김종환 | 1989년 결성된 성남지역 노동자 노래모임 ‘아우성’의 멤버였고, 이후 전국장애인한가족협회 노래패 ‘노둣돌’, ‘장애... file
174 2016년 봄 107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노들야학 댄스반 교사 원해선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알고 보니 후원인, 노들야학 댄스반 교사 원해선!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 file
173 2016년 봄 107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Oh Sung Choy,감광국,강경완,강귀화,강문형,강미진,강병완,강복원,강성윤,강수혜,강영...
172 2015년 겨울 106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내년에는 책을 많이 읽어보려고 하는데요. 읽기 순서 1,2위를 다투는 책으로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프란츠 파농이라는 사람의 책이고, ...
171 2015년 겨울 106호 - 엉망진창 낮 수업을 고발합니다 엉망진창 낮 수업을 고발합니다 서둘러, 사납게, 따로 X 천천히, 즐겁게, 함께 O 박임당 | 수유너머N에서 주로 공부하고 있다가 지난 4월의 어느 날 노들의 낮 ... file
170 2015년 겨울 106호 - [교단일기] 쓰리고에 피박을 면하려면 생활수학 【 교단일기 】 쓰리고에 피박을 면하려면 생활수학 임영희 | 동건이랑 유리랑 살고 있음. 뽀뽀와도 곧 함께 살게 될 예정. 이 사람 저 사람 다 살기 좋은 세상... file
169 2015년 겨울 106호 - 피플퍼스트가 대체 무어란 말인가 피플퍼스트가 대체 무어란 말인가 일본 피플퍼스트 대회 참가기 김유미 | 노들야학에서 일하며 노들바람을 만든다. 장애인운동에 기웃대며 십년을 보냈는데 요즘... file
168 2015년 겨울 106호 - 【 2015 노란들판의 꿈 - 모아 】 너와 나와 노란들판이 꿈꾸는 자리 2015년 노란들판의 꿈 이야기 니(you)! 나(me)! 노(노란들판)! 【 2015 노란들판의 꿈 - 모아 】 너와 나와 노란들판이 꿈꾸는 자리 김진수 | 야학교사 진수입니... file
167 2015년 겨울 106호 - [2015 노란들판의 꿈 - 하나] 종로노들보치아 여섯 번째 대회를 해냈다 【 2015 노란들판의 꿈 - 하나 】 종로 노들 보치아 여섯 번째 대회를 해냈다 김문주 | 저는 노들센터 김문주 활동가입니다. 노들센터에서 권익옹와 자립생활팀 ... file
166 2015년 겨울 106호 - [2015 노란들판의 꿈 - 둘] 의료는 인권이다! 【 2015 노란들판의 꿈 - 둘 】 의료는 인권이다! 장애인주치의제도 실현을 위한 시민한마당 박누리 | 노들 법인 소속으로 노들야학 교사를 하고 있는 누리입니... file
165 2015년 겨울 106호 - [2015 노란들판의 꿈 - 셋] 우리가 했던 말을 기억해주세요! 【 2 0 1 5 노 란 들 판 의 꿈 - 셋 】 우리가 했던 말을 기억해주세요! 학생 글 발표 ‘노란들판에서 자라는 꿈’ 가나 | 야학에서 세 학기 째 국어수업을 하고 ... file
164 2015년 겨울 106호 - 탈시설 선언문 탈시설 선언문 2015년 11월 23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탈시설 콘서트에서 발표된 ‘탈시설 선언문’입니다. 이 권리 선언문은 탈시설 당사자들이 모여 몇 차례의 토... file
163 2015년 겨울 106호 - [장판 핫이슈1] 우리 그냥 복지 지원하게 해주세요, 네? 【 장판 핫이슈 1 】 우리 그냥 복지 지원하게 해주세요, 네? 형님의 횡포에 대한 어느 지자체의 호소 서기현 | IT업계의 비장애인들 틈바구니에서 개고생하다 ... file
162 2015년 겨울 106호 - [장판 핫이슈2] 추락하는 사회에서 불안을 위무하는 방법 【 장판 핫이슈 2 】 추락하는 사회에서 불안을 위무하는 방법 서울 제기동 발달장애인 직업훈련센터 ‘커리어월드’ 사태 강혜민 | 노들바람 편집하는 ㄴㅁ 뒤에 ... file
161 2015년 겨울 106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장애인과 배낭 【고병권의 비마이너】 장애인과 배낭 “장애인이란 배낭을 메지 않은 사람이다”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이번 여름부... file
160 2015년 겨울 106호 - 좋은 시설은 없다 좋은 시설은 없다 좋~은 시설이 있다는 건, 좋~은 군대가 있다는 말과 같다!! 이승헌 | 2002년에 ‘민중복지연대’라는 단체의 상근자로서 최옥란 열사 투쟁, 이동... file
159 2015년 겨울 106호 - 1017MHz, 빈곤철폐가 빛나는 날에 1017MHz, 빈곤철폐가 빛나는 날에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이 함께 살기 위한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폐지 ... file
» 2015년 겨울 106호 - ‘턱턱턱’에 대해서 ‘턱턱턱’에 대해서 어디까지 당해봤나? 문전박대! 민아영 | 노들야학 8개월 차에 접어든 꼬꼬마 교사입니다. 한 학기 동안 불수레 영어반과 함께했습니다. 재미... file
157 2015년 겨울 106호 - 경기도 이동권이 엉망이라고 전해라 경기도 이동권이 엉망이라고 전해라 14시간 점거한 버스를 혼자 타고 집에 돌아오신 분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형숙 대표 인터뷰 김유미 | 노들야학에서 일하...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