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동숭동 김장기

: 자립에 대해서

 

 

 

 

 

김장기 |노래부르기와 그림그리기를 좋아한다. 2016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주택에 입주했고 202110월 동숭동에서 자립을 시작했다.

 

 

 

오규상 |집에 있는 시간을 좋아해서 탈시설과 홈리스운동의 자리를 기웃거린다.

 

 

 

 

 

 

 

 

 

 

 

트럭 부를 거야?

       좁은 계단을 올라 도어락을 쳐다본다. ‘삐 삐 삐삐삐 삐 삐삐 삐삐 삐, 띠리링비밀번호를 한참 누르고 집에 들어간다. 번호를 제멋대로 눌러도 마지막에만 맞게 누르면 열리는 도어락이다. 외투를 걸고 샤워를 한 뒤 잠옷으로 갈아입는다. 세탁기에서 옷들을 꺼내 옷방 겸 거실에 있는 빨래건조대에 널었다. 전기밥솥에 밥이 충분한가 확인한다. 김장기는 전기밥솥에 밥을 짓는 취미를 가지고 있다. 안방에 들어가 커피믹스를 한잔 타며 TV를 보다 이내 끄고 침대에 누워 잠을 청한다. TV와 침대 사이에 놓인 소반 위에는 언제 꺼냈는지 모를 김치 한 접시와 밥 한 공기 그리고 불은 라면이 뚜껑 없이 놓여있다.

 

 

       2016, 6년간 머물던 시설에서 나와 자립생활주택에 입주한 김장기는 야학에 머무는 시간을 좋아한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야학에서 일하다 공부하고 놀다 밥을 먹는다. 화가 날 때면 누군가에게 아주 내가 야학을 안 갈 거여! 내가 안 가면 되는거여?”라며 버럭 소리를 지르고, 다음 날이면 또 누군가에게 저기 나 핵교 언제 가면 돼?” 하고 묻는다. 그는 엘리베이터가 있는 깔끔한 신축 빌라에 위치한 자립생활주택에서 다른 입주자 2명과 같이 살았다. 그는 2018년에 자립생활주택에서 지역으로 자립한 뇌병변 장애인이 남긴 개인 화장실이 딸린 방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 방은 화장실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동거인 A에 우선권이 있었지만, A가 방을 옮기고 싶어 하지 않아서 김장기가 들어갈 수 있었다. 김장기는 가끔 다른 동거인 B 때문에 못 살겠다고 하소연하곤 했지만, 그 사유는 대개 B가 늦게 들어온다거나 혹은 B가 밥을 많이 먹는다는 것이었다.

 

 

       일상의 대부분을 야학에서 보내고, 주거 환경도 일견 그만하면 괜찮지싶은 김장기는 이사를 가고 싶어 했다. 차에 관심이 있는 김장기는 종종 트럭 부를 거야?”라는 말로 이사가 가능한지 넌지시 확인하곤 했다. 2021년 내내 그는 사람들에게 옷은 어떻게 가져가고 농은 가져가도 되는지, 컴퓨터는 어떻게 할지, 열쇠는 새로 하는지 질문했다. 야학 교사 국어쌤잠바쌤’(주택에 함께 살았던 다른 입주자의 활동지원사)을 초대하여 밥을 먹고 싶어 했다.

 

 

 

이사하는 날.JPG이사하는 날 현관문을 여는 김장기.JPG

 

 

 

 

 

 

 

 

 

 

 

 

 

 

 

 

 

 

 

 

 

 

 

1(왼쪽)이사하는 날    / 2(오른쪽)이사하는 날 현관문을 여는 김장기

 

 

 

노들에서 먼 데는 안돼

       김장기는 기초생활수급권이 있고 종로구 일자리에도 참여하고 있어 일상을 꾸리는 데 금전적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제도권 교육을 받지 못하고 보호자 의뢰로 시설에 들어갔다 나온, 한글과 숫자를 모르는 김장기가 지닌 돈은 본인 명의의 주거계약서를 갖기에는 턱없이 모자랐다. 20214월 서울시 전세주택보증금 지원(1.6억 원, 최대 6) 대상에 선정되었고, 6월 성북구 삼선동 SH임대주택 입주 대상에는 탈락했다. 7월 이후 영희네부동산의 도움을 받아 전세주택보증금 지원이 가능한 주택을 찾았다. 집을 찾기 위해 김장기가 내건 조건은 노들에서 먼 데는 안돼였다. 유리빌딩에서 걸어서 이동할 수 있는 지역에서 보증금 1.6억 원 이내의 집을 찾는 것은 쉽지 않았다. 겨우 찾은 집의 주인은 김장기를 만난 후 계약을 거부했고, 나가겠다고 한 세입자는 계속 살겠다고 마음을 바꾸기도 했다. 무엇보다 권리분석 기준을 충족하는(임차보증금의 보장을 위하여 공시지가 대비 임차보증금 비율은 일정 기준 이하여야 함) 집을 찾기 어려웠다. 지원되는 보증금으로 들어갈 수 있는 빌라는 공시지가가 낮았고 공시지가가 높은 아파트에는 그 금액으로 들어갈 수 없었다. ‘영희네부동산은 부지런히 조건에 맞는 집을 찾아주었다. 지원 기한이 다가오면서 권리분석에서 탈락할 시간적 여유가 없자 영희네부동산은 종로구청 사회복지과 및 담당 법무사와 권리분석을 직접 논의하였다. 전세주택보증금 지원 기한이 일주일 남았을 때, 유리빌딩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는 집을 임차 계약하기 위해 김장기와 함께 집주인을 만났다. 계약을 확정하고 계약금을 송금했다. 십분 뒤, 집주인은 주택 코디네이터에게 전화해 계약 취소 의사를 밝혔다. 집주인과 한참을 통화했고, 김장기는 예정대로 이사하기로 했다.

 

 

 

산책하고 있어요

그림6.jpg

      김장기는 오전 6시에 일어났다. TV를 켜고 샤워를 한 뒤, 옷을 입고 침대에 한참을 앉아 있었다. 오전 8시가 되었다. TV를 끄고 불을 끄고 문을 닫고 집을 나섰다. 동숭동을 한 바퀴 산책하며 돌고 있는데 코디네이터가 보였다. “코디쌤 어디가?”라고 김장기가 물었다. "장기님네요. 장기님은 어디가요?" 코디네이터가 대답했다. "으응 나 지금 산책하고 있어요". 김장기의 집에 스카치 테이프가 없어서 사기로 했다. 애먼 데로 가려는 코디네이터를 김장기는 가까운 편의점으로 안내했다. 동숭동에 편의점이 어디 어디 있는지 김장기는 알고 있다. 코디네이터가 스카치 테이프를 집어 김장기에게 1500원이라고 하자 김장기는 천 원짜리 두 장을 꺼냈다. 편의점을 나와 김장기는 마로니에 공원으로 걸어간다. 오늘은 김장기가 무대에 올라가서 노래를 부르는 날이다. 벌써 김장기의 마음이 두근거린다.(사진: 산책중에 운동하는 김장기)

 

 

 

자립 축하 여행(1113, 변산)에서 이야기한 김장기의 자립 소감

나도 이사 나와가지고 좋아요. 이제 아파트로 가고 싶어. 깡통 모아서 돈 벌고 싶어요.

빨래 개는 거 혼자서 다 해. 문도 번호 이렇게 해서 혼자서 잘 열어.

나는 이제 김밥 같은 거 잘 만들어. 김 놓고, 밥 높고 김치랑 계란이랑 당근 넣어서.

B도 돈 많이 벌어서 이사 가.

 

 

 

내 집 안에 있는 시간이 참 좋습니다

       저는 집에 머무는 시간을 좋아합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해도,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되는, 내 집 안에 있는 시간이 참 좋습니다. 2015, 제가 독립하겠다고 하자 부모님은 너는 엄마 아빠가 싫어서 나가는 것이다라는 말로 저를 막았습니다. 그러나 저는 나왔습니다. 부모님을 좋아했지만, 한밤중에 야식을 먹어도, 밤을 새워 드라마를 봐도, 누군가의 눈치를 볼 필요가 없는, 나만의 공간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장기 님은 지금 집에 만족하는 것 같습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방음이 잘 되지 않아서 장기 님이 아침에 노래를 부른다고 집주인을 통해 이웃집의 항의를 듣는 점입니다. 저는 집주인의 전화를 받고 장기 님께, 집에서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면 안 된다고 하였고, 장기 님은 알겠다고 하였습니다. 그게 하필이면 이번 종로구 동네노래자랑직전이었습니다. 장기 님의 다음 집은 지금보다 방음이 잘돼서 적어도 노래를 흥얼거릴 수는 있는 집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집으로 가는 길.jpg

집으로 가는 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856 2022년 봄 130호 - [노들 책꽂이] "집회"의 존재론: 금지된 신체들의 출현과 "장소"의 재구성 / 정창조 노들 책꽂이 '집회'의 존재론 : 금지된 신체들의 출현과 '장소'의 재구성  주디스 버틀러,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들』 김응산·양효실 옮김, 창비, 2020... file
855 2022년 봄 130호 - [동네 한바퀴] "공익활동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일하는 "동행" / 박소영, 김유미  동네 한바퀴 '공익활동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일하는 '동행'    동행 박소영 활동가 인터뷰    인터뷰, 정리_김유미           활동의 지속가능성을, 점점 더 많...
854 2022년 봄 130호 - 고마운 후원인들 고마운 후원인들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2년 3월 말 기준)           CMS 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주)피알판촉 강경희...
853 2021년 겨울 129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노들바람> 편집인               2022년 새해. #1 학생들과 함께 보는 모니터를 켜고, 영상을 찾기 위해 유튜브에서 ...
852 2021년 겨울 129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죽은 사람의 죽지 않은 말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죽은 사람의 죽지 않은 말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 file
851 2021년 겨울 129호 - 우리의 삶과 차별 금지법 / 다니주누                 우리의 삶과 차별 금지법       다니주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 부산성소수자인권모임 대표 활동가                          2021년 ... file
850 2021년 겨울 129호 - [형님 한 말씀] 노들야학과 함께해 주신 분들께 드립니다                       형님 한 말씀 노들야학과 함께해 주신 분들께 드립니다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노들 야학과 ... file
849 2021년 겨울 129호 - [노들아 안녕] 목소리를 잃어버린 신학생, 노들에 와서 잃어버린 목소리를 찾아가는 중 / 유진우                 노들아 안녕 목소리를 잃어버린 신학생, 노들에 와서 잃어버린 목소리를 찾아가는 중           유진우                      안녕하세요. 저는 ... file
848 2021년 겨울 129호 - [노들아 안녕] ☆10월의 노란들판☆ / 재 언(Jae eon)                     노들아 안녕 ☆10월의 노란들판☆       재 언(Jae eon)                   노란들판으로부터 면접 보기 전에 보내주신 이력서 양식으로 써 내... file
847 2021년 겨울 129호 - [노들아 안녕] 정규의 넓이와 깊이 / 송정규               노들아 안녕 정규의 넓이와 깊이       송정규                        투쟁!을 통한 변화는 있을 수 없고 그저 사람들에게 피해만 주는 것이 뭔! ...
846 2021년 겨울 129호 - [노들아 안녕] 열심히 살자가 제 목표입니다 / 박제상                     노들아 안녕 열심히 살자가 제 목표입니다       박제상                                                         저는 노들야학에 다니는... file
845 2021년 겨울 129호 - [노들아 안녕] 이제라도 노들을 만나게 되어서 다행 / 조희은           노들아 안녕 이제라도 노들을 만나게 되어서 다행           조희은                                        안녕하세요! 노들야학에서 청솔2반 영어... file
844 2021년 겨울 129호 - [2021 노들야학 백일장 - 백일장이 체질]대상_ 탈시설의 현실화 / 최동운(한소리반)                  2021년 노들장애인야학  백일장이 체질               2021 백일장이 체질<대상> 탈시설의 현실화       최동운 한소리반                 나는...
843 2021년 겨울 129호 - [2021 노들야학 백일장 - 백일장이 체질]대상_ 삶 - 건망증 편지 /박정숙 (한소리반)                              2021년 노들장애인야학  백일장이 체질               2021 백일장이 체질<대상> 삶 - 건망증 편지           박정숙 한소리반    ...
842 2021년 겨울 129호 - [2021 노들야학 백일장 - 백일장이 체질]대상_ 혜화역 2번 출구 / 이창현(교사)                  2021년 노들장애인야학  백일장이 체질               2021 백일장이 체질<대상> 혜화역 2번 출구       이창현 교사               북적북적 ...
841 2021년 겨울 129호 - [2021 노들야학 백일장 - 백일장이 체질] 준비위원장의 말 / 이현아            2021년 노들장애인야학  백일장이 체질                     2021 백일장이 체질 준비위원장의 말               이현아  글쓰기를 딱히 좋아하거나 ... file
» 2021년 겨울 129호 - 동숭동 김장기 : 자립에 대해서 / 김장기, 오규상                       동숭동 김장기 : 자립에 대해서           김장기 |노래부르기와 그림그리기를 좋아한다. 2016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주택에 ... file
839 2021년 겨울 129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새콤달콤한 하루하루 / 김주희, 최민지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새콤달콤한 하루하루               김주희 | 잠꼬대는 엄마! 좋아해도 가가~ 그래도 이 곳에서 당신과 친구가 되어 사는 것... file
838 2021년 겨울 129호 - [나는 근로지원인입니다] 그녀가 포기하지 않고 더 많을 걸 바랬으면 / 신유정           나는 근로지원인입니다 그녀가 포기하지 않고 더 많을 걸 바랬으면             신유정 활동명 보리. 아마도, 동물권 활동가. 이 땅에서 살아가는, 혹... file
837 2021년 겨울 129호 - 친구들 보고 싶어 / 김경남, 김장기 ,김희자 ,박성숙,이봉규,이인혜, 정지민, 황임실     친구들 보고 싶어                2021년 노들바람과 함께 온 엽서를 기억하시는지요? 그림을 못 그리면 무지개를 그리면 된다는, 어떤 사람도 아닌 그냥 사...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