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노들 책꽂이]

<장애학의 도전>과 함께 장애학에 도전해 보자!

 

 

 

허신행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4년간 광야를 떠돌다 노들의 소중함을 깨닫고

12월부터 다시 사단법인 노란들판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노들장애인야학의 신입 교사들이 100번 이상은 접하게 되는 질문이 있다. 바로 어떻게 하다가 노들야학에 오시게 되셨어요?”라는 질문 말이다. 2007년이었다. 사회복지학과를 다니지만 장애 문제에는 큰 관심이 없었던 나는 우연히 학교 앞 서점에서 책 한 권을 발견하게 된다. 바로 김도현의 <당신은 장애를 아는가>였다. 무심코 잡은 얇고 가벼운 이 책은 나에게 엄청난 무게의 충격을 던져주었다. 무언가라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저자 소개에 보니 그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정책국장이라고 했다. 나는 전장연에 전화를 해서 자원활동을 하고자 한다고 했다. 그때 전화를 받은 사람은 여기보다는 노들야학에 연락을 해보라는 답을 주었다. 2007년 여름, 나는 노들야학에 자원활동 교사로 들어가게 되고 그 인연이 지금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한 권의 책이 인생을 바꾸어 놓으리라 상상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나는 명확히 <당신은 장애를 아는가>가 내 인생의 방향을 정했다고 생각한다. 그 책을 읽지 않았다면 노들에 가지 않았을 것이고, 노들에 가지 않았다면 나는 완전히 다른 인생을 살고 있을 것이다. 한편으론 감사하고 또 한편으론 신기한 일이다.

 

내 인생의 책을 쓴 김도현이 꼭 10년 만에 새 단행본을 내놓았다. 바로 <장애학의 도전>이다. “10년의 기간 동안 장애인운동의 현장에서 활동하며 읽고, 고민하고, 궁리하고, 깨달은 것의 9할 이상, 아니 문장으로 정리해낼 수 있는 건 모두 이 책에 담았다고 했다. 어마어마한 책이 나왔으리라 직감했다. 누구보다도 그의 팬이라고 자처했던 나는 하루라도 빨리 읽고 싶은 생각에 예약 구매를 했고, 배송을 받자마자 숨 쉴 틈 없이 통독했다.

 

역시 김도현이었다. ‘나만 이 은혜를 받을 수 없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함께 보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는 나만 읽고 다른 사람은 이 책의 존재를 아예 몰랐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했다. 나만 아는 보석 같은 노래가 대중가요가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 같은 것이리라. 그리고 사람들이 <장애학의 도전>을 읽고 나면, 나 같은 장애인권교육 강사들의 얘기는 시시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는 두려움도 조금은 섞여 있었다.

 

이런 사사로운 감정 따위로 사람들에게 추천을 안 할 수는 없다. 평양냉면을 모르고 살았던 나의 30년이 얼마나 원망스러웠던가. 장애학을 모르고 평생 살아갈지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이 책은 하루라도 빨리 더 많은 이들에게 알려져야 한다. (사실 <장애학의 도전>은 출간 20여일 만에 1쇄를 모두 소진하고 2쇄를 찍을 정도로 이미 대단한 인기를 얻고 있다.) <장애학의 도전>을 추천하고 싶은 주요 이유는 세 가지다.

 

첫째, 쉽다. 단언컨대 장애학을 다루는 그 어떤 책보다 쉽다. 다루고 있는 내용은 절대로 만만치 않다. 우생학, 동물해방론과 장애, 정의(正義), 비장애인중심주의, 자기결정권, 노동권 등 쉽지 않은 논의와 개념들을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쉽다. 사반세기에 가까운 시간 동안 장애인운동을 해온 저자의 경험 때문일 수 있겠다. 학자들은 어려운 말을 써야 자신의 업적이 커 보인다고 생각하는지 경쟁하듯 알아듣기 힘든 단어들을 쏟아낸다. 하지만 20년 넘게 장애인 당사자와의 소통을 통해 수련한 저자는 최대한 쉬운 언어로 상대방을 배려하려 노력하는 것이 몸에 배어 있다. 어려운 내용의 글을 읽지만 그의 친절함을 통해 쏙쏙 이해가 되는 희열을 경험할 수 있다.

 

둘째, 흥미롭다. 많은 사람들은 일상생활을 하면서 장애자도 잘 듣지 못한다. 장애인과 상관없이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그나마 올해부터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이 의무화되면서 정보 습득의 창구가 늘기는 했다. 하지만 교육을 통해서든 대중매체를 통해서든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이야기는 한정되어 있다. 장애인이 불쌍하고 도와주어야 할 존재가 아니라 시민적 권리를 가진 주체라는 점만 들어도 다행일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김도현의 논의들은 다채롭다 못해 화려하다. 지적 호기심을 진하게 자극한다. ‘도대체 동물권이랑 장애가 무슨 상관이 있지?’, ‘지적장애인이나 자폐성장애인과 같은 사람들도 자립할 수 있다고?’, ‘근로능력이 없는 장애인에게도 노동권이 있나? 최저임금을 보장하는 것이 말이 되나?’와 같은 질문들에 명쾌한 답을 준다. 그의 논의는 비장애인들이 현실적으로말이 안 된다고 주장하는 것 자체가 그동안 일종의 매트릭스에 갇혀 살아왔기 때문임을 증명한다. 비장애인중심주의, 사회적 장애 모델 등의 핵심 코드로 장애와 비장애인 간의 관계를 제대로 분석해 낸다.

 

셋째, 깊이 있다. 장애학에 대한 그의 소개는 바로 저자의 삶 자체를 이야기하는 듯하다. 장애학은 실천지향적이다. 저자는 연구자이면서 동시에 투쟁하는 활동가다. 그는 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 장애인권운동에 투신했으며 지금도 그 삶을 이어나가고 있다. 장애학은 편파적이고 당파적이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는 아직 멀었다고 할 때, 예산이 부족하다고 할 때, 꿈같은 소리 하지 말라고 할 때 그는 이동권을, 교육권을, 자립생활의 권리를, 노동권을 외쳤다. 한결같이 장애인의 편에 있었다. 합리적·이성적이라는 표현은 비장애인들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교묘한 수사였다는 점을 끊임없이 고발했다. 이런 배경을 지닌 저자의 글은 살아있을 수밖에 없다. 머릿속으로만 고민한 것이 아니라 몸으로 배워 익힌 이론이다. 깊이 있는 그의 글은 한 문장 한 문장이 소중하고 감사하다. 읽고 나서도 여운은 쉽게 가시지 않는다.

 

김도현의 글은 진정성이 있다. 현장과 맞닿아있다. 써야 해서 기계처럼 써내려간 여느 보고서와는 다르다. 인간에 대한 존중을 가지고, 사람들과의 관계맺음을 통해서, 동료의 억울함을 함께 겪고 이겨내면서 만들어낸 작품이다. 이 찡함을, 이 가슴 떨림을 한 사람이라도 더 느껴봤으면 좋겠다. 12년 전의 나에게 <당신은 장애를 아는가>가 인생의 책이 되었듯이, 누군가에게 <장애학의 도전>이 인생의 책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의 책을 읽고 노들야학에 지원했다는 자원활동가가 어서 나타나길 바래본다.

 

허신행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04 2019년 겨울 121호 - 전동휠체어 처방전을 받기 위한 질문! 100 빼기 7은? / 김상희 전동휠체어 처방전을 받기 위한 질문! 100 빼기 7은?       김상희 | 노들센터 김상. 얼마 전에 읽었던 소설에 나온 문장이 너무 멋져서 옮겨 봅니다. “혼자라는 ... file
603 2019년 겨울 121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 모색 토론회’를 다녀와서 / 서기현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 모색 토론회’를 다녀와서         서기현 | 7년동안 집안에서 거지꼴로 살다 IMF때 반강제 자립(자립생활 아님 ...
602 2019년 겨울 121호 - 열사와 지속가능한 운동 / 박상빈 열사와 지속가능한 운동     박상빈 | 시민사회단체 근처에서 기웃거리기만 하다가 노들장애인야학을 시작했습니다.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평생 사회운동을 할 수...
» 2019년 겨울 121호 - [노들 책꽂이] <장애학의 도전>과 함께 장애학에 도전해 보자! / 허신행 [노들 책꽂이] &lt;장애학의 도전&gt;과 함께 장애학에 도전해 보자!       허신행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4년간 광야를 떠돌다 노들의 소중함을 깨닫고 12월부터 다시... file
600 2019년 겨울 121호 - <장애학의 도전> 저자에게 보내는 편지 / 김성희 &lt;장애학의 도전&gt; 저자에게 보내는 편지 이 책이 꼭 더 많은 이들에게 읽힐 수 있기를       김도현 님, 안녕하세요. 저는 평택에서 자폐증이 있는 아들을 키우고 ...
599 2019년 겨울 121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야학에 파묻혀 지낸 20대 청춘, 이후 _박여송 인터뷰 / 명학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야학에 파묻혀 지낸 20대 청춘, 이후 인터뷰_야학 휴직교사 박여송 님     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명학 : 안녕하... file
598 2019년 겨울 121호 - [동네 한 바퀴] 투쟁 현장 동지들 밥 챙기는 ‘십시일반 밥묵차’ / 조재범 [동네 한 바퀴] 투쟁 현장 동지들 밥 챙기는 ‘십시일반 밥묵차’ 밥묵차 대표 유희 님 인터뷰   조재범 |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자립생활지원팀장... file
597 2019년 겨울 121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현장에서 자주 뵈었어요! 록밴드 ‘허클베리핀’ / 명희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현장에서 자주 뵈었어요! 록밴드 ‘허클베리핀’   [#노들바람_고마운 후원인] 허클베리 핀 인터뷰(12.16) 이기용(기타, 코러스), ... file
596 2019년 겨울 121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9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경희 강남훈 강명 강미자 강미진 강미희 강병완 ...
595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 &lt;노들바람&gt; 편집인 석암재단이 운영하는 베데스다요양원에 살던 이들이 시설 내부의 비리를 폭로하고, 시설 권력에 문제 제기하는 ... file
594 2019년 가을 120호 - 어디선가 길을 잃고 헤맬지라도 / 장선정 어디선가 길을 잃고 헤맬지라도   장선정 |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당신이 잘 계시다면 잘 되었네요. 나는 잘 지냅니다. Si vales bene est, ego valeo -&lt;라틴...
593 2019년 가을 120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한 번은 아무것도 아니다”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한 번은 아무것도 아니다”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 file
592 2019년 가을 120호 - [장판 핫이슈] 장애등급제 폐지가 “가짜”라던데 진짜인가요? / 노들 편집위원회 [장판 핫이슈] 장애등급제 폐지가 “가짜”라던데 진짜인가요? &lt;여러분의 궁금증을 팩트체크 해보았습니다.&gt;     노들 편집위원회         축하해!!             갑... file
591 2019년 가을 120호 - 석암투쟁 10년 기억 기록 석암비대위, 노들, 발바닥 멤버들의 이야기 / 노들 편집위원회 석암투쟁 10년 기억 기록 석암비대위, 노들, 발바닥 멤버들의 이야기   노들 편집위원회           ‘2009 임소연’ 임소연에게 이야기를 청하자, 자신이 2009년에 ... file
590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석암투쟁 10년 그리고, 기옥과 용남의이야기 / 명희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석암투쟁 10년 그리고, 기옥과 용남의이야기     명희 | 애쓰며 삽니다.      8/12(월) 기옥과 용남네 집에서 명희가 만났습니다. 인터뷰의... file
589 2019년 가을 120호 -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故 황정용을 보내며 / 노들 편집위원회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故 황정용을 보내며     노들 편집위원회     석암투쟁 10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마치고, 7월 13일 석암비대위 황정용 님이 유명을 달리했습... file
588 2019년 가을 120호 - 어느 발달장애인의 생존기록 / 홍은전  어느 발달장애인의 생존기록   홍은전 | 노들야학 휴직교사입니다. 노들야학 스무해 이야기 &lt;노란들판의 꿈&gt;을 썼고요, 그 책을 쓴 덕분에 이러저러한 인권 기록... file
587 2019년 가을 120호 - 새로운 도전이었던, 어느 발달장애인 자립 지원에 대하여 / 박미주 새로운 도전이었던, 어느 발달장애인 자립 지원에 대하여   박미주     이제는 나에게 너무 익숙한 이름이 돼버린 언니를 처음 만난 건, 2019년 5월, 지금으로부... file
586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목요일이 기다려져요 / 박경인 [노들아 안녕] 목요일이 기다려져요   박경인 | 노들야학 학생입니다.     저는 바리스타로 근무하고 있는 26살 박경인입니다. 저는 태어났을 때부터 부모에게 버... file
585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노들과 상빈의 만남 / 박상빈 [노들아 안녕] 노들과 상빈의 만남   박상빈 | 사회적 기준에 따른 삶을 살다가 가치관이 변해 대안 사회를 꿈꾸고 있습니다. 현재 노들야학에서 교사로 활동하면...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