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들 책꽂이]

눈부신 생명의 이야기

<나를 보라, 있는 그대로 - 화상경험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지은이 송효정 박희정 유해정 홍세미 홍은전, 온다프레스

 

박준호 | 노들과 노들사람들을 좋아하는 노들야학의 교사이자

월요일을 싫어하는 직장인입니다.

 

 

2.jpg

 

  20191학기 한소리반 국어 수업 시간에 <나를 보라, 있는 그대로 - 화상경험자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함께 읽었습니다. 6명의 화상경험자를 6명의 인권기록가들이 인터뷰를 한 내용의 책이었습니다. 수업교재로 정한 이유는 수업교사인 제가 당시 읽고 있던 책이기도 했고 화상으로 인한 장애를 겪게 된 화상경험자분들에 대해 저도, 야학 학생 분들도 아는 것이 없었기 때문에 같이 한번 읽어 보자 라는 생각에서였습니다. 차별과 고통 앞에 섰던 경험이야 어디에서도 빠지지 않을 만큼 많은 우리 학생 분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학생들과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저도 책장을 넘기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화상치료의 고통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도 없고, 생각해본 적도 없었는데 책에 상세히 기록된 화상치료의 과정은 너무나 고통스러운 것이어서 책장을 덮어버리기 일쑤였습니다. 상상된 고통마저도 저를 압도하는 그 고통이, 현실에서 얼마나 많은 아픔을 줬을지 저는 너무 무서웠습니다. 그렇게 책을 덮고 잠시 심호흡을 하고 다시 읽고를 반복하며 책을 읽었습니다.

 

  중증 화상치료는 입원기간의 집중적인 치료 외에도 몇 년간의 재수술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치료비용은 10억 가까이 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의 개인이 감당할 수 없어 모금과 지원으로 비용을 충당할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치료 기간 가족이 눈물겹게 지원한 경우도 있는 반면 화상으로 아픈 누나가 살고 있는 집을 팔아서 돈을 챙기려한 동생이 있었고 산재처리를 해주지 않으려고 구급차도 불러주지 않았으면서 이후 산재처리가 되었다며 당장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외면했던 회사도 있었습니다.

 

  화상은 장애범주로 등록되어 있지도 않아 화상치료에 대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 대한 통계도 정확히 잡혀 있지 않다고 합니다. 2018 소방방재청 통계로 약 23만여명이 치료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비마이너 - 화상장애인 지원, 민간 차원 벗어나 공공 영역으로 확장돼야. 201961)

 

  화상경험자분들이 책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하신 이야기는 화상을 입었을 때 어떠한 지식이나 지원체계도 없었기 때문에 스스로 공부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곳을 찾았다는 이야기입니다. 너무나 고통스러운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할 곳이 없어 화상을 입고 입원해 있는 사람을 찾아 병원을 전전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책의 저자들은 화상경험자들의 경험이 인간승리의 드라마로 읽히거나 동정의 대상으로 읽히기 바라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이 책의 주인공들은 이미 자신과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의 손을 잡는 멘토 활동을 하고 계십니다. 길고긴 고통의 문턱에서 걸어 나온 이들을 존중하고 사회가 손을 잡아주었으면 합니다. 손을 잡는다는 말로는 부족한 것 같아 필진의 말을 첨부합니다. 같은 마음으로, 책의 뜻이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길 바랍니다. 경험자분들의 목소리가 세상에 나오게 해준 필진들의 노력에도 박수를 보냅니다.

 

  아픈 몸을 고치는 건 의사지만 잘못된 사회를 고치는 건 그 사회에 의해 아파본 사람들의 목소리와 그 목소리를 듣고 행동하는 사람들입니다. 이 책이 고립되어 있는 화상경험자들을 연결해 단단한 울타리를 만들고, ‘화상장애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계를 만드는 데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귀한 이야기를 해주신 송순희, 전나영, 정인숙, 송영훈, 김은채, 엄문희, 정범식, 최려나 님께 존경의 마음을 전합니다.

  살아주셔서 고맙습니다.

 

  필진들을 대표하여 홍은전 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584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산재운동에서 장판으로! / 박영일 [노들아 안녕] 산재운동에서 장판으로!     박영일       나는 1998년 4월 17일 오전 9시 57분 인천 남동공단 내에 있는 한 공장에서 일을 하다가 250T 프레스라... file
583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 한예인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한예인 | 이것저것 다 하느라 바쁜 와중에 노란들판 입사해서 더 바빠진 무지개 예술맨(현직 디자이너, 5개월 차).       노란색이 ... file
582 2019년 가을 120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활보로 자립하고 공감하다 / 정지원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활보로 자립하고 공감하다   정지원     나는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했다. 공부를 할 시간을 확보하면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 file
581 2019년 가을 120호 - [교단일기] '선'과 '속도' / 충근 [교단일기] ‘선’과 ‘속도’     충근 | 디자인하는 것을 좋아하는 디자이너. 사회 속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에 의문을 품고,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이를 시각... file
580 2019년 가을 120호 - 살아 숨 쉬는 동그라미의 춤판 낮수업 소풍 이야기 / 소영 살아 숨 쉬는 동그라미의 춤판 낮수업 소풍 이야기     소영 | 쿨레칸 프로듀서로 5년째 일하고 있다. 인생은 알 수 없는 수수께끼로 이뤄져 있다. 춤알못인 내가... file
579 2019년 가을 120호 - 형님 한 말씀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노들야학 후원님들께. 안녕하세요. 2019년 노들야학 무상급식 후원님들 덕분에 좋은 성과로 잘 ... file
578 2019년 가을 120호 - ‘비와 당신’ 2019년 후원주점 평등한 밥상 / 진수 ‘비와 당신’ 2019년 후원주점 평등한 밥상      진수 | 언제부턴가 소나기에 발 젖는 걸 좋아 한다.     6시가 되자 소낙비가 내렸다. 후원주점이 가장 바쁜 시간... file
577 2019년 가을 120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울퉁불퉁 대명 길이 달라졌어요 / 박정숙 [대학로야 같이 놀자] 울퉁불퉁 대명 길이 달라졌어요   박정숙 | 노들야학 한소리반 학생으로 고졸 검정고시 준비하며 노란들판에서 활동하고 있는 활동가입니다...
576 2019년 가을 120호 - ★ 후원 마당 스페셜 후기 ★ ★ 후원 마당 스페셜 후기 ★   후원 마당에 참여 한 많은 분들 중, 노들 단위를 제외한 대표 여섯 분을 만나 봤습니다. 후원 마당에 함께 해 주신 고마운 마음을 ... file
575 2019년 가을 120호 - 저상버스 함께 탑시다! / 최영은 저상버스 함께 탑시다!     최영은 |     올해 노들센터 권익옹호 활동으로 저상버스 타기 캠페인 한다고 해서 휠체어 타고 있는 당사자인 저와 거동이 불편한 장... file
574 2019년 가을 120호 - 종로장애인인권영화제를 마치고 / 꼬비 종로장애인인권영화제를 마치고     꼬비 | 노들센터 꼬비. 인천에서는 영사실 지킴이. 현장기록 활동가.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센터 활동가 꼬비입니다. 올 ... file
573 2019년 가을 120호 - 서울 인강학교 공립화에 즈음하여 / 이승헌 서울 인강학교 공립화에 즈음하여   이승헌 | 사회복지법인 인강재단 대표이사     인사   자유롭고 평등한 노들장애인야학의 26번째 생일을 축하합니다. 한때 노... file
572 2019년 가을 120호 -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교사 세미나 후기 / 이가연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교사 세미나 후기       이가연 | 고려대학교에서 헌법을 전공하고 있으며, 소수자의 기본권, 그중 장애와 장애여성의 권리에 관심을 가지며...
571 2019년 가을 120호 - 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며...... / 김상희 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며......     김상희 | 아담한 술집에서 술 마시는 걸 좋아합니다! ㅎㅎ           1. 퀴어문화축제에서 자유를 보다.     지난 6월 1일 서... file
570 2019년 가을 120호 - 故 박종필 2주기 추모포럼, 사회운동 활동가의 건강권을 묻다 / 강혜민 故 박종필 2주기 추모포럼, 사회운동 활동가의 건강권을 묻다      강혜민 | 비마이너 기자. 비마이너 기사로 야학 수업하고 싶어서 시사반 수업을 맡았으나 일정... file
»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 책꽂이] 눈부신 생명의 이야기 / 박준호 [노들 책꽂이] 눈부신 생명의 이야기 &lt;나를 보라, 있는 그대로 - 화상경험자는 무엇으로 사는가&gt; 지은이 송효정 박희정 유해정 홍세미 홍은전, 온다프레스   박준... file
568 2019년 가을 120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9년 9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곽상아 (주)머스트자산운용 강남훈 강미자 강미진 강병완 강... file
567 2019년 여름 119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김유미 &lt;노들바람&gt; 편집인     1. 얼마 전, 야학 4층 들다방에서 보았던 낯선 얼굴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열흘 지났을까. 메시지 로 울리는 휴대폰 속에서 그의 ...
566 2019년 여름 119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죽음의 설교자들 / 고병권 [ 고병권의 비마이너 ] 죽음의 설교자들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을 ... file
565 2019년 여름 119호 - 우리의 일상을 바꾸는 투쟁, 부양의무자기준 폐지를 향해 / 김윤영 우리의 일상을 바꾸는 투쟁, 부양의무자기준 폐지를 향해 송파 세모녀 5주기를 맞아   김윤영 빈곤이 아니라 빈민을 철폐하는 세상에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빈...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