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3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I need 구몬 박선생님!

 

 

조아라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활동가. 본인이 구몬장애인정책학습의 뮤즈라 믿는다.

한동안 본래 이름을 잃고 아이 니드 어 펜슬로 불렸다.

구몬을 두 개나 하느라 더 바빠졌다

 

 

 

 

 

 

  작년 12월부터 구몬영어를 시작했다. 시작 전 간단한 레벨 테스트를 하는데, 나는 테스트를 거칠 필요도 없는 수준이므로 가장 쉬운 단계부터 시작했다. 구몬은 일주일에 한 번씩 선생님이 학생 집에 방문해서 수업을 약 10~15분간 진행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매 수업마다 다음 주까지 풀어야 할 학습지가 배부되고, 숙제 검사가 이뤄진다. 학습지는 여러 문장을 반복해서 쓰고 읽으면서 스스로 공부하는 형태다. 직장인은 처음에 의기양양하게 다섯 권씩 시작하다, 나중에는 학습지를 놓고 왔네, 파쇄기에 실수로 넣었네, 하면서 수업을 한 달씩 미뤄 구몬의 기피 대상이라고 했다.

 

  나의 집은 언덕을 한참 올라가야 하는 곳에 있어 대항로 건물에서 수업을 시작했다. 두 번 째 수업할 때였던가, 막 출근한 노들장애인야학 교장 쌤이 수업 중간에 들어왔다. 처음엔 내가 구몬영어를 배운다는 걸 믿지 않더니, 곧 선생님 옆에 자리를 잡고는 나와 같이 따라했다. “아이 니드 어 캡!(I need a cap!)”, “아이 니드 어 펜슬!(I need a pencil!)” 그 뒤로 놀림이 시작됐다. 나는 조아라라는 이름을 잃 고, ‘아이 니드 어 펜슬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었다. 만날 때마다 아이 니드 어 펜슬~ 잘 하고 있어?”, “아이고~ 아이 니드 어 펜슬~”

 

  그러다 어느 뜨거운 뒤풀이 자리에서 교장 쌤은 구몬의 학습 형태와 구조를 해석하며, 우리 진보적 장애인운동에도 구몬이 필요하다며 일장 연설을 했다. “아이고~ 아라가 아이 니드 어 펜슬~하는데 그거 얼마냐?”, “한 달 35천원이요.”, “아이고~ 그럼 나는 더 싸게 할게. 한 달 25천원. 다들 선금 줘봐봐.” 이러면서 1만원씩 가져가더니, 정말 그 다음 주에 구몬장애인정책학습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

 

4.jpg

 

 

구몬을 신청한 학생들이 꽤나 많은 듯했다. 나는 다른 학생 A, B와 그룹으로 구몬장애인 정책학습을 하게 되었다. 참고로 교장 쌤은 끝까지 1:1을 고집했지만, 일정을 잡기 너무 어려 운 학생들이 그룹 학습을 요청했다. 두 번째 수업 때 교재를 나눠줬다. 구몬영어 교재와 달리 그림 하나 없이 글자만 빽빽한, 유엔장애인권리협약(UNCRPD)에 대한 한국정부 보고 서였다.

 

교재는 그야말로 장애 이슈 총집합체, 의제별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에서 지적 및 권고를 받은 사항에 대해 한국의 정책 현황, 정부의 노력과 과제가 서술되어 있었다. 신기한 건, 아는 내용은 무엇이 잘못됐고 과장되어 있는지 보이지만, 전혀 모르는 내용은 적혀 있는 대로 믿을 수밖에 없었다는 점. 바로 이때부터 선생님의 학습 지도(?)가 시작된다. “밑줄 쫙! 여기서 핵심은 바로 이 말이에요.”, “이거는 무슨 말이냐면, 안 하겠다는 말이지~”하며 보 고서를 해석해주기 시작한다. 한 문단씩 천천히 함께 읽으면서 현황표가 정말 맞는지 확인하고, 생소한 정책 내용은 학생들의 숙제가 된다. 문제는 한 페이지마다 숙제가 수두룩해서, 어느 날은 숙제를 적기에 바빠 수업이 귀로 들어가는지 코로 들어가는지 모를 날도 있었다는 것.

 

  지금까지 수업을 한 여섯 번쯤 했을까? 수업하다 갑자기 회의를 하기도 하고, 고민을 털어놓기도 하는데 어찌어찌 그날의 수업 내용과 이어진다. 우주 슈퍼스타 강사는 뭔가 달라 도 다른 것 같다. 어느 날은 수업이 1시간 넘 게, 어느 날은 2시간 가까이, 어느 날은 30 , 모두의 일정과 컨디션에 따라 다르다. 다음 수업, 그 다음 다음 수업까지 일정을 미리 잡 아도 워낙 바쁜 선생님과 학생들이다보니 틀어지기 일쑤다. 꼭 누군가가 한 명은 전날이나 당일에 확인해야, 서로가 안 까먹고 진행할 수 있다. 그렇게 계속 계~속 수업 약속 을 잡는다. 활동하면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 의자에 엉덩이를 붙이고 손에 문서를 붙들고 있을 시간이란 게 사치스럽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아픈 몸을 끌고 나와 일하고 있는 이들, 지금 당장 일손이 필요해 끙끙대는 사람들을 두고, 오늘이나 내일 보내야 하는 문서 작성도 제대로 못해 마른세수를 하는 마당에 공부라니 가당치도 않다. 하지만, 거의 40명이 넘는 사람들이 밀집해있는 사무실, 하염없이 밖에서 소리를 악악 지르는 날들, 밀려드는 의제를 소화하지 못해 어버버한 채로 진행되는 인터뷰, 그 속에서 나는 종종 길을 잃었던 것 같다.

 

  우주 슈퍼스타 강사 교장 쌤과 학생 A, B 와의 구몬장애인정책학습은 천천히 걷는 시 간이다. 걷고 있는 길이 어디쯤인지 모르지만, 그동안 진보적 장애인운동이 걸어온 길을 돌 아보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종종 궁금한 교장 쌤의 속을 들여다보기도 한다. 왜 투쟁하는지, 어떻게 이런 선전을 생각해내는지, 어떤 마음 으로 사람들에게 손을 내미는지, 그동안 이 운 동을 함께 만들어온 사람들의 눈과 마음이 되어보려 한다. 지금과 마찬가지로 피로에 절은 눈을 꿈뻑, 막막한 마음을 애써 누르며 왔을 시간들이 피부에 닿을 땐, 조금 용기가 생기는 것 도 같다. 물론 구몬장애인정책학습을 열심히 들어도, 앞으로도 나는 길을 잃을 것이다. 그 때마다 이 수업이 내게 말을 걸어주지 않을까.

 

  아직도 혼자, 따로 공부할 수 있다고 믿으십니까? 얼른 환상을 깨고 구몬 신청하세요~*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544 2019년 여름 119호 - 중증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일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 아침 중증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일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아침 장애차별철폐 투쟁의 날에 태어난 덕에 장애운동을 늘 응원해왔습니다. 현재는 나야 장애인권교육...
543 2019년 여름 119호 - 우리는 식행사 / 노란들판 우리는 식행사   <노들바람>에 노란들판 소모임 [식물이 있어 행복한 사람들(식행사)]을 소개합니다!     ★ 안시륨 (안시리움)     • 가입동기 거창한 가입동기... file
» 2019년 여름 119호 - I need 구몬 박선생님! / 조아라 I need 구몬 박선생님!     조아라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활동가. 본인이 구몬장애인정책학습의 뮤즈라 믿는다. 한동안 본래 이름을 잃고 ‘아이 니드 어 펜슬’로 ... file
541 2019년 여름 119호 - [노들 책꽂이] 만일 이 목소리들이 잘 들리지 않는다면 / 장혜영 [ 노들 책꽂이 ] 만일 이 목소리들이 잘 들리지 않는다면 리뷰 『묵묵』, 고병권 지음. 돌베개, 2018   장혜영 도무지 알 수 없는 세상을 그래도 이해해보고자 노... file
540 2019년 여름 119호 - [동네 한 바퀴] 노동건강연대 그리고 정우준 / 김유미 [ 동네 한 바퀴 ] 노동건강연대 그리고 정우준   김유미 일상 대부분의 커피와 밥을 노들에서 해결하는 사람. 야학에서 수학 2반 수업을 맡고 있다. 이번 학기 목... file
539 2019년 여름 119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인터뷰_김태식 노동·정치·사람 집행 위원장 / 한명희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 연대의 방식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인터뷰_김태식 노동·정치·사람 집행위원장   한명희 어제, 오늘, 내일 그렇게 애쓰며 삽니다, ... file
538 2019년 여름 119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9년 5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남훈 강미자 강미진 강병완 강복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 file
537 2019년 봄 118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 <노들바람> 편집인 1. 그저 기분이겠지만. 요가를 하다보면 호흡, 그러니까 숨 쉬기가 아주 중요하게 여겨지는 때가 있습니다. 목표... file
536 2019년 봄 118호 - ‘잊는다’는 것은……. *장선정 ‘잊는다’는 것은……. 장선정 | 노란들판 남동생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어요. 1월 새벽이었는데, 이 추운 아침에 도대체 누구냐며 전... file
535 2019년 봄 118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여기 사람이 있다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여기 사람이 있다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을 ... file
534 2019년 봄 118호 - 그들을 죽인 것은 작동하지 않은 스프링클러가 아니다 *정성철   그들을 죽인 것은 작동하지 않은 스프링클러가 아니다 종로 고시원 화재 사망 사건, 가난한 사람들의 주거권 문제     정성철| 다른 건 어떻게든 해보겠는데 자... file
533 2019년 봄 118호 - [장판 핫이슈] 말로는 폐지, 하지만 실상은 가짜 폐지? *박철균   [장판 핫이슈]  말로는 폐지, 하지만 실상은 가짜 폐지?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를 위해 사다리를 매단 가을 겨울 장애인 투쟁   박철균 | 2015년 4월부터 지... file
532 2019년 봄 118호 - 차별의 벽, 아픔의 벽을 함께 넘는 노력 *김호세아   차별의 벽, 아픔의 벽을 함께 넘는 노력 코레일 차별규정 현장 실측 및 진정 기자회견을 준비하며   김호세아 | 잘못은 반성하고, 사과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 file
531 2019년 봄 118호 - 노들과 나의 인연 *강윤중     노들과 나의 인연                         강윤중 | 경향신문 사진기자. 무려 20년차다. 2002년 ‘장애인이동권’으로 생애 첫 사진다큐를 한 뒤 기자로서 나... file
530 2019년 봄 118호 - [형님 한 말씀] 2019년을 맞으며... *김명학   [형님 한 말씀] 2019년을 맞으며...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2019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에는 노들야학을 알고 계시는 여러분들 가... file
529 2019년 봄 118호 - [노들아 안녕] 노들 공장 적응기 *서민정   [노들아 안녕] 노들공장 적응기    서민정     안녕하세요. 저는 2018년 8월에 노란들판 사무팀원으로 입사한 서민정입니다. 입사 소감을 쓰기에 앞서 뜬금없는... file
528 2019년 봄 118호 - [노들아 안녕] 변화를 추구하는 활동 현장에 함께하고자 합니다 *김유진   [노들아 안녕] 변화를 추구하는 활동 현장에 함께하고자 합니다   김유진      안녕하세요.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주택팀 신입활동가 김유진입니다.  저... file
527 2019년 봄 118호 - 어쩌면 여기서는 함께 살아나가 볼 수 있지 않을까 *정진영   어쩌면 여기서는 함께 살아나가 볼 수 있지 않을까     정진영 | 나를 어떻게 소개해야 할지 알 수 없는 요즘입니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와 더불어 어떻게 ... file
526 2019년 봄 118호 - 노들 신입활동가 교육을 마치고 *장준호   노들 신입활동가 교육을 마치고   장준호 |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센터 자립주택 코디네이터 장준호라고 합니다.  졸업 후 4년 ... file
525 2019년 봄 118호 - 사단법인 노란들판 로고 ‘디자인’ 이야기 *고수진   사단법인 노란들판 로고 ‘디자인’ 이야기   고수진 | 생각이 깊은 디자인을 꿈꾸며 오늘도 작은 손을 분주히 움직이고 있는 디자이너     오랫동안 사단법인 노...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