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9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노들바람을 여는 창]

 

 


안녕하세요, 김유미 활동가에 이어 노들바람편집인을 맡게 된 노들야학 상근교사 김도현입니다. 노들야학은 제가 2000년에 첫 사회활동을 시작한 곳이고, 2003년 봄 휴직 후 장애인이동권연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계간 함께웃는날등에서 활동을 하다 만 11년만인 2014년 가을에 복직을 했는데요, 이렇게 노들바람을 직접 만드는 일을 하게 되니 왠지 감개가 무량합니다. 우리 노들바람은 재미있는 책인데, 사실 제가 참 재미없는 사람이라 이 일을 잘해낼 수 있을지 살짝 걱정이 되기는 하네요. 하지만 노들이라는 삶의 공간 자체가 뽀그락 뽀그락 시끌벅적 우하하하 재미난 곳이니, 저는 그저 그 삶의 이야기들을 이 지면에 잘 옮겨다 붙이는 역할을 조금만하면 될 거라 생각하며 용기를 내고 있습니다.


노들에서는 이번 학기에도 크고 작은 변화들이 있었습니다. 야학에서는 총학생회장단이 새로 선출되었고, 각 반 담임도 바뀌었고, 새로 수업을 맡은 신임 교사도 5명이나 됩니다. 노들센터는 권익옹호 활동가 그룹을 새롭게 조직하는 등 활동을 좀 더 현장 중심으로 개편했고요, 센터 판은 길음역 근처에 새로운 공간을 계약해서 4월 초에 이사를 하네요. 그리고 뭐니 뭐니 해도 가장 큰 변화는, 노들의 근거지 중 하나인 동숭동 유리빌딩의 4층에도 교육 공간이 마련되면서 대대적인 공사와 이동이 있었다는 것이지요. 새롭게 확장된 노들 공간에 대한 이야기는 이번 호에 담지 못했는데요, 정리와 단장을 마치고 나면 다음 호에서 자세히 전해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작년 8,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이 취임을 했지요. 이 분이 연초에 거대 법인 단체들이 주최한 장애계 신년인사회에서 장애계와의 소통과 화합을 강조하며 만들겠다고 밝힌 게 소위 장애인정책 미래위원회입니다. 최근 활동을 시작한 이 위원회에 어쩌다보니 제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위원 자격으로 참여를 하게 되었는데요, 저는 소통까지는 뭐 좋은데 화합이라는 말은 왠지 많이 불편하게 느껴집니다. 시설에서 나와 자립생활을 꿈꾸던 고() 송국현 동지의 억울한 죽음을 방조하고도 끝끝내 사과하지 않았던, 그 책임자를 뻔뻔스럽게도 다시 국민연금공단의 이사장으로 보냈던 저들과 우리는 과연 화합할 수 있는 것일까, 그런 생각이 드는 것이지요.


요즘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불화(, 2015)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요, 그가 책의 제목인 불화’(mésentente)라는 언어 상황을 규정하는 방식이 무척 흥미롭습니다. “불화는 하얗다고 말하는 사람과 검다고 말하는 사람 사이의 갈등이 아니다. 그것은 하얗다고 말하는 사람과 하얗다고 말하는 사람 사이의 () 갈등이다.”(17) 저는 이 문장을 읽으며 무릎을 탁 쳤습니다. 우리도 복지를 이야기하고 저들도 복지를 얘기합니다. 우리도 자립생활을 얘기하고 저들도 자립생활을 얘기하지요. 그러나 우리가 얘기하는 복지와 자립생활은 저들이 얘기하는 복지나 자립생활과 말만 같지 실제로는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탈시설이라는 말도 그렇고요. 그래서 우리는 저들과 불화할 수밖에 없지요. 그런데 그러한 불화가 제거된 화합이라는 게 랑시에르의 용어를 빌자면 정치가 실종되고 치안이 확립된 상황에 불과합니다. 우리의 더 나은 삶을 향한 진정한 의미에서의 정치를 포기하지 않는 한, 우리는 아마도 저들과 계속해서 불화할 수밖에 없겠지요. 코앞으로 다가온 소위 정치의 계절, 저희는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당활동에도 420투쟁에도 열심히 함께 하면서 우리의 목소리가 사라지지 않도록 계속 불화하겠습니다.

 

* * *

 

이번 노들바람107호는 노들장애인야학 후원마당 밥상이 나르샤티켓과 함께 독자 여러분들에게 전달이 될 텐데요,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2년 간 급식을 시행하면서 누적된 적자가 만만치 않습니다. 유리빌딩 4층에 새로운 공간이 생겨 좋기는 하지만, 공사를 하면서 불가피하게 진 빚도 맘을 좀 무겁게 하네요. 전해드린 티켓을 한손에 들고, 다른 한손으로는 지인 분들의 손을 꼭 잡고, 따땃한 봄날 514일에 노들을 꼭 찾아 주시길.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04 2016년 여름 108호 - 도대체 부정수급이 무어란 말이냐 도대체 부정수급이 무어란 말이냐 우리를 부정수급자로 몰아가다니, 뿔이 난다!!       조은별 | 노들야학과 사랑에 빠져 수년째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수업 ... file
203 2016년 여름 108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 장애인의 벗, 이종각 선생님을 추억하며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 장애인의 벗, 이종각 선생님을 추억하며       조사랑 | 노들야학 휴직교사이자 전 상근활동가. 2009년부터 평원재 담당자로... file
202 2016년 여름 108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6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감광국, 강귀화,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
» 2016년 봄 107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안녕하세요, 김유미 활동가에 이어 『노들바람』 편집인을 맡게 된 노들야학 상근교사 김도현입니다. 노들야학은 제가 2000년에 첫 사...
200 2016년 봄 107호 - 알 수 있는 건, 모른다는 사실 하나! 알 수 있는 건, 모른다는 사실 하나! 노들장애인야학 신임 학생회장단 인터뷰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199 2016년 봄 107호 - [교단일기] 나의 몸짓을 찾아서 [교단일기] 나의 몸짓을 찾아서     김미진 | 노들야학 연극반 교사. 연극이라는 도구를 통해 앞으로도 얼마나 잘 놀면서 사람들과 만날 수 있을까 고민을 하고 ... file
198 2016년 봄 107호 - [교단일기] 이러쿵저러쿵 방송국의 이런저런 이야기 [교단일기] 이러쿵저러쿵 방송국의 이런저런 이야기       허세준 | 노들야학에서 드문드문 수업을 한다. 대학에서 영화를 전공하고 있지만 영화에 대해선 아무것... file
197 2016년 봄 107호 - 저 일등 먹었어요! 저 일등 먹었어요! AAC(보완대체의사소통) 기기를 이용한 ‘2015 전국 뇌병변․언어장애인 의사소통 웅변 경진대회’ 참가기       이상우 | 1982년 전주에서 출생. ... file
196 2016년 봄 107호 - 앞이 캄캄해요! 앞이 캄캄해요! 어머니가 들려주는 스무 살 딸 이야기       가나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소민이에게는 ‘오빠’라 불린다. 요즘에는 야학에서 지민이 형과 노는 ... file
195 2016년 봄 107호 - [노들아 안녕] 노들에 새로 입성한 독수리 오형제 [노들아 안녕] 노들에 새로 입성한 독수리 오형제       오진희 | 고등학생들 문예 입시지도 하면서 연극도 하면서 공부도 하지만, 뭐 하나 제대로 못하는, 열 재... file
194 2016년 봄 107호 - [노들아 안녕] 회자정리 거자필반 노들! [노들아 안녕] 회자정리 거자필반 노들!       이라나 | 라나라나라나라나 날 좋아 한다고~ 사랑받고 싶은 청순한 소녀, 꽃 단 돼지 라나에요^^*   서울에 처음 ... file
193 2016년 봄 107호 - 고군분투 33살 화이팅 고군분투 33살 화이팅       박준호 | 전(前) 노들야학 상근자     지난해 노들야학 상근 활동을 정리하며 다른 상근 활동가들께 많이 미안했습니다. 남은 자리는... file
192 2016년 봄 107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공상 말고 사랑을 하자 [고병권의 비마이너] 공상 말고 사랑을 하자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이번 여름부터 무소속 연구자로 살아가고 ... file
191 2016년 봄 107호 - [형님 한 말씀] 쌍용자동차 승리 보고대회 & 용산참사 7주기 [형님 한 말씀]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쌍용자동차 승리 보고대회   2015년 12월 30일 쌍용자동차 평택 공장 앞에서 쌍용차 승리 보고대회에 ...
190 2016년 봄 107호 - 기쁘다 엘리베이터 오셨네 기쁘다 엘리베이터 오셨네       박경석 | 노들장애인야학 고장인데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로 출세하여 활동하고 있음. 일을 즐거움으로 알고 놀듯... file
189 2016년 봄 107호 - 기쁘다 탈시설 오셨네~ 메리 탈시설! 기쁘다 탈시설 오셨네~ 메리 탈시설! 서울시 자립생활주택 확대를 위한 마로니에공원 연말 천막농성을 마치고       김재환 |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활동가. 전(... file
188 2016년 봄 107호 - 광화문 농성장 야간 사수 도전기 광화문 농성장 야간 사수 도전기       서기현 | IT업계의 비장애인들 틈바구니에서 개고생하다 장판에 들어와 굴러먹은 지 어언 15여 년. 현재는 장애인자립생활... file
187 2016년 봄 107호 - 정립전자 비리 사태를 보며 정립전자 비리 사태를 보며 정립전자 원장이었던 김현국 씨는 일하는 직원의 손을 제대로 본 적이 있을까?       나해니 | 사회적 기업 노란들판 경영지원팀장. ... file
186 2016년 봄 107호 - 장애인독립진료소 이야기 장애인독립진료소 이야기       박누리 | (사)노들 소속으로 노들야학 교사를 하고 있는 누리입니다. (건조하게)     노들의 장애인독립진료소는 (사)노들, 참의... file
185 2016년 봄 107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드디어 나에게도 나의 집이!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드디어 나에게도 나의 집이!       # 하나: 지금의 이 행복을 앞으로 생길 애인과 함께 영원히 누리고 싶은, 3년차 탈시설 장애인 이병기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