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8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를 마치며

 

 

 

 배재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으로 활동 공간을 옮기고 모든 것을 새롭게 익혀야 하는 상황에서, 이번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 진행이 가장 심적 부담이 컸고 힘들었다. 듣기로는 센터의 일 년 사업 중 예산 규모가 가장 큰 사업이라 했다. 영화제를 진행해 본 경험도 없는 내가 덜컥 큰 사업을 맡은 것은 아닌지, 센터에 폐가 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많이 되었다. 본격적인 영화제 준비는 5월 말 슬로건 등을 정하는 첫 회의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7월 말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와 함께 준비 회의를 하면서 영화제에 대한 감을 잡기 시작했다.

 

  이번 영화제의 슬로건은 ‘성북에서 장애인도 함께 살자’였다. 성북지역에서 장애인도 함께 일하고 살아간다는 뜻으로 ‘자립생활’, ‘같이’, ‘함께’를 핵심 키워드로 삼았고, 영화제의 개막작은 「이것도 노동이다」로 정해졌다. 10월 5일 목요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성북구청 4층 아트홀에서 개막작을 포함해 총 여섯 편의 영화가 상영되었다.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노동자들의 활동과 개별 인터뷰 등 그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담은 「이것도 노동이다」를 시작으로, 지원주택에서의 자립생활과 센터 활동 등 다양한 모습을 그린 「지원주택 사람들」, 장애인 부부의 아기자기한 일상과 생활을 담은 「슬기로운 자립생활」, 활동지원 시간을 조금이라도 더 받기 위한 처절한 코믹 생존기 「거짓말」, 신뢰하는 사람들의 지지와 헝가리의 발리더티 재단(Validity Foundation)이 제공하는 지원을 받아 자립해 살아가는 한 장애인 당사자의 변화를 그린 외국 작품 「내 인생은 나의 것」, 그리고 박기연 열사의 뜨거운 삶과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탄생 에피소드를 그린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가 마지막 폐막작으로 상영되었다.

 

  상영작들의 면면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예년보다 더욱 다양한 장애인의 삶과 현실을 다룬 영화제였다고 할 수 있다.

 

  활동을 하면서 잘 알지 못하는 사업의 과정들을 처음 부딪쳐 가며 준비하는 일은 여러 번 있었지만, 이번만큼 부담을 가진 적도 없었던 것 같다. 이직을 하고 나서 맡은 가장 큰 사업이었고 실수 없이 완벽하게 해야겠다는 마음 때문에, 사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 내내 쫀득한 긴장감 속에 살아야 했다.

 

  그럼에도 물론 적지 않은 문제들이 있었다. 포스터 제작 과정이 길어 홍보가 늦어진 점, 우편 발송을 하면서 실수한 점, 진땀을 흘렸던 여러 순간들이 주마등처럼 스쳐간다. 연휴 기간을 활용해 행사 준비를 해야 했던 것도 무척 힘들었다.

 

  그렇지만 영화제 사업을 앞으로도 계속 맡고 싶고, 적어도 3년 이상은 지속하면서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싶다. 올해 한 번 경험을 해봤으니, 내년에는 유경험자로서 좀 더 노련하고 더욱 알차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를 준비하고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084 2024년 봄 137호 - [노들 책꽂이] 사람을 목격한 사람 / 박정숙 노들 책꽂이 사람을 목격한 사람        박정숙 노들야학 한소리반 학생. 사단법인 노란들판 활동가입니다.           『사람을 목격한 사람』은 노들야학 철학반... file
1083 2024년 봄 137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 그때 그 사람들 / 윤혜정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 그때 그 사람들        윤혜정 노들야학 동문           며칠 전에 요양 도우미 언니가 가져다준 핸드폰을 받아보니, 노들야학의 한혜... file
1082 2024년 봄 137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후원인을 모집하는 후원인, 이현옥님 인터뷰 / 박임당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후원인을 모집하는 후원인  이현옥님 인터뷰      박임당 노들야학 교사           십여 년 전 공부하러 갔던 한 인문학 공간에서 같... file
1081 2024년 봄 137호 - 고마운 후원인들 고마운 후원인들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3년 12월 ~ 2024년 2월 29일 기준)        CMS 후원인 (주)피알판촉 강경희 강나...
1080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도현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도현 〈노들바람〉 편집인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은 2023년이 꼭 열흘 남은 시점입니다. 상투적인 말이긴 하지만, 시간이 ...
1079 2023년 겨울 136호 - [형님 한 말씀] 후원자님께 드립니다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후원자님께 드립니다      김명학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안녕들 하세요.     계절은 어느새 겨울로 접어들고... file
1078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아 안녕] 노들야학은 최고의 학교 / 하지연 노들아 안녕 노들야학은 최고의 학교        하지연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하지연입니다. 반갑습니다. 딸 여섯 중 넷째입니다. 막내하고 아파트에... file
1077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아 안녕] 낙인찍힌 몸을 자긍심으로 / 하마무 노들아 안녕 낙인찍힌 몸을 자긍심으로        하마무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하마무입니다. 하마가 무를 먹는다, 이렇게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저... file
1076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아 안녕] 노들아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 박선진 노들아 안녕 노들아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박선진             안녕하세요, 노들센터 신입활동가 박선진입니다. 활동명은 지니이고요. 노들센터에서 권리중심... file
1075 2023년 겨울 136호 - 무수히 고유한 / 서한영교 무수히 고유한  노들에스쁘와 어라운드 공연 2022~2023      서한영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탈탈탈팀 & 김유미, 「그림의 벽」, 2022, 그래픽 천에 ... file
1074 2023년 겨울 136호 - '세상에 없던 학교' 노들야학의 서른 해 / 강혜민 '세상에 없던 학교' 노들야학의 서른 해  노들장애인야학 30주년 개교기념제 현장 취재기      강혜민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비마이너〉 기자           쿵쿵차... file
1073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상 제작합니다 / 조상지 노들은 사랑을 싣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상 제작합니다  영화반의 노들야학 30주년 축하 영상 제작 일기      조상지 노들장애인야학 부총학생회장           ... file
1072 2023년 겨울 136호 -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준비위원장의 말_ 사랑사랑 내 사랑 노들야학, 오래오래 오래도록 백일장! / 이예진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준비위원장의 말] 사랑사랑 내 사랑 노들야학, 오래오래 오래도록 백일장!      이예진 어쩌다보니 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준비위...
1071 2023년 겨울 136호 -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심사위원장의 말_ '심사'를 '숙고'하기 / 이지훈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심사위원장의 말] '심사'를 '숙고'하기      이지훈 노들야학에서 글을 함께 쓰고 삶을 다시 짓는 사람           2023년 7월 25일... file
1070 2023년 겨울 136호 -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수상작을 소개드립니다!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수상작을 소개드립니다!           이번 ‘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에는 35명의 학생이 총 46개의 글과 그림을 출품했습니다. 백일장... file
1069 2023년 겨울 136호 - 얼렁벌렁한 첫 연구수업을 끝내고 / 송나현 얼렁벌렁한 첫 연구수업을 끝내고        송나현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안녕하세요, 이번 학기 청솔1-B반 국어 수업으로 노들과 함께하고 있는 송나현입... file
1068 2023년 겨울 136호 - 똑똑똑, 취재 왔어요 / 비마이너읽기반 똑똑똑, 취재 왔어요 노들야학 〈비마이너〉 읽기반의 미술반 취재기        〈비마이너〉 읽기반 (명학, 희자, 인혜, 오성, 세현, 기대, 혜민) 목요일 3, 4교시 ... file
1067 2023년 겨울 136호 - 움직이는 진 무리 / 하마무 움직이는 진 무리        하마무 진 수업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목요일 진 수업이 인생의 낙입니다. 사랑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진(Zine) 수업에... file
1066 2023년 겨울 136호 - 또 다른 감각, 노들야학이 아니었다면 만나지 못했을 이야기들 / 이민제 또 다른 감각 노들야학이 아니었다면 만나지 못했을 이야기들        이민제 들숨 날숨 잘 호흡하며 살고픈 우주 시민. 현재, 실상사 작은학교 졸업을 앞두고 있... file
1065 2023년 겨울 136호 - 고마운 노들의 식구들에게 / 구김본희 고마운 노들의 식구들에게        구김본희 푸른꿈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입니다. 2023년 여름, 노들장애인야학에서 3주간 인턴십으로 함께 했습니다.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