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대학로야 같이 놀자

보도 환경은 장애인의

이동권 그 자체

 

 

 

진행.정리 허지혜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은 성북구의 공공기관 편의시설을 모니터링하고보도 환경을 점검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이번 호에서는 조사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은순구금룡 두 활동가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1. 보도 환경 개선 모니터링 조사원분들 각자 소개 부탁드립니다.

 

김은순

안녕하세요. 저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편의시설 조사원으로 일을 하고 있는 김은순입니다. 편의시설 조사원 일은 장애인으로서 지역사회에 살다보면 편의시설이 안되어 있어 불편함을 많이 느껴 이런 점을 어떻게든 개선해 보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공공시설 편의시설과 은행, 우체국을 조사해보았고 이번 년도에는 보도 환경 개선 모니터링을 하게 되었습니다.

 

구금룡 

저는 자립생활센터판 모니터링 조사원으로 3년째 활동하고 있는, 성북구에 사는 구금룡이라고 합니다.

 

 

2. 조사원 분들 편의시설 조사 경력이 있으신데 일전에 하였던 편의시설(은행,우체국,주민센터 등) 조사와 보도 환경 모니터링 개선 활동의 장단점을 말해주세요.

 

김은순

은행, 우체국, 주민센터 등의 편의시설 모니터링 장점은 우선 모니터링할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조사하는 시간이 짧고, 대부분 실내라서 여름에도 조사하기 좋다는 점입니다. 단점은 편의시설에 모니터링을 나가면 직원들이 우선 "트집 잡으러 왔구나" 이런 눈초리로 보는 경향이 많아 심적으로 불편하였습니다. 가끔 친절한 직원분들을 만나 한결 가벼운 마음으로 조사도 하였지만 대부분 마음이 불편하였습니다. 보도환경 모니터링은 기존에 조사했던 편의시설보다 시간에 얽매이지 않아 좋았습니다. 편의시설은 영업 시간에만 조사가 가능한 반면 보도환경은 평일은 물론이고 공휴일이나 주말에도 조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외에서 모니터링을 진행하다 보니 비, 여름의 무더운 날씨로 조사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구금룡 

편의시설 조사의 장점은 첫째, 시설의 미흡한 부분에 대하여 해당 시설의 관리자나 책임자에게 직접 의견을 제시하거나 소통할 수 있습니다. 둘째, 차가 있으면 우천시에도 건물내에서의 조사는 가능합니다. 편의시설 조사의 단점으로는 건물의 관리자나 책임자가 조사 활동 자체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보도 환경 모니터링의 장점은 조사 활동에 있어 사람들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지만 우천, 폭염 등 날씨에 많은 영향을 받고, 지역에 따른 환경이나 조사결과의 차이가 큰 것이 단점입니다.

 

 

허지혜_대학로야같이놀자.jpg

 

 

 

 

 

3. 현재의 보도 상태는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잘 된 부분과 안 된 부분이 무엇인지 말씀해주세요.

 

김은순

조사한 곳을 기준으로 봤을 때 넓은 도로가 있는 곳에는 새로 인도를 설치하여 보도의 상태는 좋지만 유도블록이 신호등 앞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 같아 조금 아쉬운 점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좁은 도로가 있는 곳에는 인도가 오래되어 바닥이 고르지 않거나 횡단보도 앞의 급경사로 설치가 미비한 부분이 있었고, 그나마 유도블록이 잘 설치된 편이었습니다.

구금룡

잘 된 부분은 횡단보도의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는 대체로 잘되어있는 편입니다. 인도의 넓이는 대체로 많이 넓어진 것 같습니다. 잘 안된 부분은 보도의 턱은 지속적으로 개선, 정비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가로수가 보도 중앙에 있어서 장애인들이 이동하기에 불편한 경우가 있고,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은 잘못 설치되거나 깨진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4. 보도 환경 개선 모니터링 활동을 하면서 느낀 점을 말씀해주세요.

 

김은순

보도 환경 모니터링 하면서 제가 다니는 인도는 넓은 곳보다 좁은 곳이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느 지역에 가봐도 넓은 인도는 바닥이 고르게 잘 되어있지만 막상 이동하는 좁은 인도는 바닥이 패이거나, 나무로 인해 바닥이 고르지 못하여 장애인들이 이동하기 불편한 곳이 많았습니다. 횡단보도의 경우 좁은 도로에는 신호등이 없는 곳도 많고, 신호가 있어도 음성신호기가 없는 곳이 많았습니다. 보여주기 편의시설이 아니라 어디를 가더라도 불편함이 없는 그런 보도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구금룡

건물이나 공공기관내의 장애인 편의시설도 반드시 필요하고 중요하지만 처음으로 보도 환경개선 모니터링을 해보니 보도의 장애인 편의시설 여부는 우리 장애인들의 이동권 그 자체라는 사실을 실감했습니다. 보도가 제대로 정비되지 않으면 이동이나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보도 환경이 더욱 개선되어서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 우리 장애인들도 자유롭고 행복한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064 2023년 겨울 136호 - 들다방 급식이 달라졌어요 / 오하나 들다방 급식이 달라졌어요 노들장애인야학 급식소는 비건식도 해낸다!        오하나 들다방 마감 & 청소 담당. 동물들이 편히 머물다 갈 수 있게, 작당하고 ... file
1063 2023년 겨울 136호 - 들다방이 상을 받았습니다 / 박준호 들다방이 상을 받았습니다        박준호 들다방 4년차           들다방이 상을 받았습니다. 들다방은 대항로 건물 4층에서 밥을 하고 커피와 음료를 파는 곳입... file
1062 2023년 겨울 136호 - 오만 일천 칠백 사십 사 시간 동안 / 조정민 오만 일천 칠백 사십 사 시간 동안        조정은 들다방 6년 지기             안녕하세요, 들다방 근로지원인 조정민입니다. 제가 들다방에서 바리스타분들과 ... file
1061 2023년 겨울 136호 -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장애인권 교육을 위한 인권 공부 / 임미경 동네 한 바퀴장애인권교육 이야기 장애인권 교육을 위한 인권 공부        임미경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우리는 우리의 자리에서 인권을 이야기합니다.... file
1060 2023년 겨울 136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탈시설 멘토와 함께 떠나는 자립여행 / 이윤재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탈시설 멘토와 함께 떠나는 자립여행 인강원 & 노들 자립여행기        이윤재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지난 11월 2... file
1059 2023년 겨울 136호 - 모든 시설이 폐쇄되는 그날까지 / 이수미 모든 시설이 폐쇄되는 그날까지        이수미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활동가         “현수막에 ‘수미가 어둠을 헤치고’라고 쓰여 있네요. 제가 자립을... file
1058 2023년 겨울 136호 - 나는 늘 이리저리 흔들립니다 / 최민경 나는 늘 이리저리 흔들립니다  「내가 점프하는 이유」 공동체 상영회 GV 후기        최민경 다른 곳에서 삐걱대며 춤을 추다가 노들야학에 와서 추고 싶은 춤을... file
1057 2023년 겨울 136호 - 제8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를 마치며 / 배재현  제8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를 마치며        배재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으로 활동 공간을 옮기고 모든 것을 새롭게 ...
1056 2023년 겨울 136호 - 보치아를 접하면서 / 황인준 보치아를 접하면서        황인준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활동가            내 주변에 중증장애인이면서 보치아 선수로 활동하는 동료가 있는데, 그 동...
1055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PAN의 파워싸커 도전기 / 서기현 노들PAN의 파워싸커 도전기        서기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소장, 대한장애인파워싸커협회 회장직도 맡고 있다.             이야기는 노들PAN(Powersoccer’... file
1054 2023년 겨울 136호 - 문턱이 없는 밴드 ‘어깨꿈 밴드’ / 해방 문턱이 없는 밴드 '어깨꿈 밴드'        해방 김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어깨꿈 밴드에서는 코러스를 맡고 있습니다.           어차피 깨진 꿈 투쟁하며 ... file
1053 2023년 겨울 136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미친식당 노동후기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미친식당 노동후기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다. 인간학을... file
1052 2023년 겨울 136호 - 수상한 우리의 힘, 2023년 기후정의행진 / 서한영교 수상한 우리의 힘  2023년 기후정의행진      서한영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아슬아슬     첫눈 오던 날. 내리는 눈에 온통 마음을 뺏겨 와아, 감탄하... file
1051 2023년 겨울 136호 -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세상! 비인간 동물도 함께 / 보리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세상! 비인간 동물도 함께 ‘시설을 나온 몸들: 동물×장애 탈시설 토크’ 기획 후기      보리 노들야학에서 생계 노동을 하고 새벽이생추어... file
1050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 책꽂이] 자기를 동물로 여기는 이들과 친구하기 / 박정수 노들 책꽂이 자기를 동물로 여기는 이들과 친구하기        박정수 노들야학 철학반 수업은 잠시 쉬면서, 영화반 메니저로서 학생들과 영상 작업을 하고 있다. 노... file
1049 2023년 겨울 136호 - [동네 한 바퀴] 같이, 또 같이 / 민푸름 동네 한 바퀴 같이, 또 같이        민푸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부쩍 추워진 날씨, 콧물을 훌쩍이는 학생들, 콜록콜록 기침하는 활동가들을... file
1048 2023년 겨울 136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우리 만남은 우연이 아니야 / 서옥영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우리 만남은 우연이 아니야        서옥영 임지영 활동가 근로지원인           난 주짓수가 좋다. 서른, 운명처럼 마주한 주짓수 도장에 ... file
1047 2023년 겨울 136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정립회관 시절 노들야학의 기록자, 「한국대학신문」 부국장 한명섭 님 인터뷰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정립회관 시절 노들야학의 기록자  「한국대학신문」 부국장 한명섭 님 인터뷰      한혜선 노들장애인야학에서 ‘가늘고 길게’ 버티고... file
1046 2023년 겨울 136호 - 고마운 후원인들 고마운 후원인들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3년 11월 30일 기준)        CMS 후원인 (주)피알판촉 강경희 강나은 강미선 강미...
1045 2023년 가을 135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도현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도현 〈노들바람〉 편집인         올해는 노들 단위의 큰언니 내지 맏형이라 할 수 있는 노들장애인야학이 문을 연지 30주년이 되는 ...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