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리 모두 내성천의 친구가 되어봅시다

 

 

 

박임당 | 수유너머N에서 주로 공부하고 있다가 작년 4월의 어느 날 노들야학의 낮 수업과 만나 바람이 났습니다. 그리고 올해 3월부터는 야학의 신임교사가 되어 보았습니다.

(본문의 사진들은 함께 갔던 친구들이 찍은 것과 제가 찍은 것이 섞여 있습니다^^!)



박임당2.jpg

박임당5.jpg


차차차 투쟁 마무리 겸, 420투쟁 선포 겸 여의도에서 일박을 하고 난 다음 날인 327. 야학 침대에서 단잠에 빠진 한 여인네가 곤히 코를 골던 시각은 아침 8. 어제도 같이 잤던 우리들은 그날 아침에도 또 야학에 모여 있었다. 휴직을 미루고 있던 유미, 운전할 사람이 없어서 끌려온(?) 진수, 여의도 투쟁 현장에서 나도 갈래~’하며 급 결합한 증호, 그리고 나 임당. 노들야학과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차 두 대를 몽땅 빌려서 출발한 곳은 다름 아닌 내성천이었다. 도시재생운동과 생태운동을 하는 리슨투더시티의 멤버 박은선의 안내를 받아 우리는 4대강 공사로 파괴되어 가고 있는 예천 지역의 내성천을 답사하고 천변에 호두나무를 심으러 다시 12일의 일정을 나선 것이다. 야학 멤버와 리슨투더시티의 은선 외에도 별꼴의 유선, 두물머리에서 활동하는 슉슉, 알록, 새봄과 빈집의 광대까지 합해서 모두 10명이었다.

 

사실 쓸 말이 많지는 않다. 첫째 날 나는 내성천의 얕은 수면에 넋 놓고 발을 담그고 있다가 막걸리를 마시고, 나무를 잠깐 심는 듯하다가 막걸리를 마시고, 봄나물을 캐다가 막걸리를 마시고, 나무 잘 자라라고 고사를 지내다 막걸리를 마시고, 저녁을 해먹으며 반주로 막걸리를 마시고, 부러진 나뭇가지를 가지고 드림캐처를 만들며 막걸리를 마시고, 그리고 밤에도 새벽에도. 그러니까 결국 하루 죙일 막걸리를 마시며 보냈다.

 

둘째 날에는 바지를 한껏 걷어 올리곤 내성천에 오래도록 발을 담갔다. 모래톱에 누워 낮잠을 자고 일어나서는 내성천에 살던 동물들 이야기를 듣고, 옥바라지 골목 이야기를 듣고, 일본 애니메이션 충사(蟲師)에 나온다는 광맥 이야기도 들었다. 그리고 청국장을 먹고 서울로 올라왔다.


박임당3.jpg

박임당6.jpg

 

내성천에서 본 것들. 엄청나게 큰 새의 둥지, 밭두렁을 질주하는 중() 사이즈의 멧돼지, 4대강 공사를 반대하는 단 하나 남은 농가의 어르신들, 목이 쉬도록 짖어대는 겁 많은 강아지, 전답 중간에 떡하니 놓인 내성천의 친구들 비닐하우스, 모래 위 숨구멍을 파면 나오는 반질반질한 제첩알, 황새의 발자국, 발바닥이 다 잠기지 않을 정도로 얕기도 퍼렇게 깊기도 하지만 보드랍게 흐르는 순한 강, 거칠게 깎여나가고 있는 모래톱, 그 위의 메마른 풀들.

 

우리는 주로 깔깔대다가 왔는데, 돌아와서 하게 된 이야기들은 우리가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지에 관한 것들이었다. 파헤쳐진지 오래인 모래강이 아직도 순한 얼굴을 하고는 우리를 꾸짖고 있는 것만 같았다.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우리가 심은 호두나무가 다 자라는 데는 7, 많게는 10년이 걸린다고 한다. 멀리 보는 싸움이라고, 긴 호흡이 필요하다고 은선은 이야기했다. 지금 내성천에는 4대강 기록관을 짓기 위해 지율 스님을 비롯한 많은 분들이 힘쓰고 있다고 한다. 사람들이 모여 손수 목재를 대패질하고 오일을 바르고 목재들을 서로 짜 맞추어 벽을 세웠고,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6월에는 지붕이 올라가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모래강과 오래도록 함께 지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은 더 있을지도 모른다. 우선 페이스북 그룹에서 내성천의 친구들로 분해 좋아요를 눌러 볼 수도 있겠다.


박임당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084 2024년 봄 137호 - [노들 책꽂이] 사람을 목격한 사람 / 박정숙 노들 책꽂이 사람을 목격한 사람        박정숙 노들야학 한소리반 학생. 사단법인 노란들판 활동가입니다.           『사람을 목격한 사람』은 노들야학 철학반... file
1083 2024년 봄 137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 그때 그 사람들 / 윤혜정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 그때 그 사람들        윤혜정 노들야학 동문           며칠 전에 요양 도우미 언니가 가져다준 핸드폰을 받아보니, 노들야학의 한혜... file
1082 2024년 봄 137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후원인을 모집하는 후원인, 이현옥님 인터뷰 / 박임당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후원인을 모집하는 후원인  이현옥님 인터뷰      박임당 노들야학 교사           십여 년 전 공부하러 갔던 한 인문학 공간에서 같... file
1081 2024년 봄 137호 - 고마운 후원인들 고마운 후원인들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3년 12월 ~ 2024년 2월 29일 기준)        CMS 후원인 (주)피알판촉 강경희 강나...
1080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도현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도현 〈노들바람〉 편집인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은 2023년이 꼭 열흘 남은 시점입니다. 상투적인 말이긴 하지만, 시간이 ...
1079 2023년 겨울 136호 - [형님 한 말씀] 후원자님께 드립니다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후원자님께 드립니다      김명학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안녕들 하세요.     계절은 어느새 겨울로 접어들고... file
1078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아 안녕] 노들야학은 최고의 학교 / 하지연 노들아 안녕 노들야학은 최고의 학교        하지연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하지연입니다. 반갑습니다. 딸 여섯 중 넷째입니다. 막내하고 아파트에... file
1077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아 안녕] 낙인찍힌 몸을 자긍심으로 / 하마무 노들아 안녕 낙인찍힌 몸을 자긍심으로        하마무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하마무입니다. 하마가 무를 먹는다, 이렇게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저... file
1076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아 안녕] 노들아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 박선진 노들아 안녕 노들아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박선진             안녕하세요, 노들센터 신입활동가 박선진입니다. 활동명은 지니이고요. 노들센터에서 권리중심... file
1075 2023년 겨울 136호 - 무수히 고유한 / 서한영교 무수히 고유한  노들에스쁘와 어라운드 공연 2022~2023      서한영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탈탈탈팀 & 김유미, 「그림의 벽」, 2022, 그래픽 천에 ... file
1074 2023년 겨울 136호 - '세상에 없던 학교' 노들야학의 서른 해 / 강혜민 '세상에 없던 학교' 노들야학의 서른 해  노들장애인야학 30주년 개교기념제 현장 취재기      강혜민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비마이너〉 기자           쿵쿵차... file
1073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상 제작합니다 / 조상지 노들은 사랑을 싣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상 제작합니다  영화반의 노들야학 30주년 축하 영상 제작 일기      조상지 노들장애인야학 부총학생회장           ... file
1072 2023년 겨울 136호 -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준비위원장의 말_ 사랑사랑 내 사랑 노들야학, 오래오래 오래도록 백일장! / 이예진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준비위원장의 말] 사랑사랑 내 사랑 노들야학, 오래오래 오래도록 백일장!      이예진 어쩌다보니 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준비위...
1071 2023년 겨울 136호 -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심사위원장의 말_ '심사'를 '숙고'하기 / 이지훈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심사위원장의 말] '심사'를 '숙고'하기      이지훈 노들야학에서 글을 함께 쓰고 삶을 다시 짓는 사람           2023년 7월 25일... file
1070 2023년 겨울 136호 -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수상작을 소개드립니다! 특집_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 수상작을 소개드립니다!           이번 ‘노들야학 30주년 백일장’에는 35명의 학생이 총 46개의 글과 그림을 출품했습니다. 백일장... file
1069 2023년 겨울 136호 - 얼렁벌렁한 첫 연구수업을 끝내고 / 송나현 얼렁벌렁한 첫 연구수업을 끝내고        송나현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안녕하세요, 이번 학기 청솔1-B반 국어 수업으로 노들과 함께하고 있는 송나현입... file
1068 2023년 겨울 136호 - 똑똑똑, 취재 왔어요 / 비마이너읽기반 똑똑똑, 취재 왔어요 노들야학 〈비마이너〉 읽기반의 미술반 취재기        〈비마이너〉 읽기반 (명학, 희자, 인혜, 오성, 세현, 기대, 혜민) 목요일 3, 4교시 ... file
1067 2023년 겨울 136호 - 움직이는 진 무리 / 하마무 움직이는 진 무리        하마무 진 수업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목요일 진 수업이 인생의 낙입니다. 사랑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진(Zine) 수업에... file
1066 2023년 겨울 136호 - 또 다른 감각, 노들야학이 아니었다면 만나지 못했을 이야기들 / 이민제 또 다른 감각 노들야학이 아니었다면 만나지 못했을 이야기들        이민제 들숨 날숨 잘 호흡하며 살고픈 우주 시민. 현재, 실상사 작은학교 졸업을 앞두고 있... file
1065 2023년 겨울 136호 - 고마운 노들의 식구들에게 / 구김본희 고마운 노들의 식구들에게        구김본희 푸른꿈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입니다. 2023년 여름, 노들장애인야학에서 3주간 인턴십으로 함께 했습니다.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